18.225.31.159
18.225.31.159
close menu
KCI 등재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음악과의 활동, 이해영역 수행수준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Status of Performance Level of Activity and Comprehension part of Music Subject in 2011 Special Educational Basic Curriculum
이지선 ( Ji Sun Lee ) , 전병운 ( Byung Un Jeon )
지적장애연구 17권 2호 109-135(27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1782021

이 연구는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음악과의 활동영역과 이해영역에 대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ㆍ고등학생의 수행수준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정신지체 특수학교 3곳에 재학 중인 중ㆍ고등학교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학생 수는 총 370명이었다. 평가는 각 학교에서 음악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육 증등(음악)을 전공한 교사 3명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음악과 영역별 하위영역의 수행수준을 보면, 활동영역에서는 연주 영역의 수행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창작영역이 가장 낮은 수행수준을 보였다. 이해영역에서는 곡의 형식이 가장 높고 소리의 어울림 영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영역과 이해영역의 수행수준을 비교해보면, 활동영역이 이해영역보다 낮았다. 다음으로 각 영역별 내용의 성취기준에 대한 수행수준을 보면 80%이상의 성취도를 보이는 학생이 1~2학년군에서도 40%미만으로 음악과에 대한 수행수준이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타나났다. 마지막으로 같은 학년군 내의 성취기준에도 차이가 많았으며 국악과 관련된 성취기준의 수행수준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atus of performance level of middle and high special-education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activity and comprehension part of music subject in the 2011 Special Educational Basic Curriculum. All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were in three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school were evaluated (n=370) for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performance levels of the sub-domains in each domain of the music subject,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instrument playing was highest and that of the composition was lowest in the activity domain. As for the understanding domain, the form of music pieces was highest while the domain of sound harmony was lowest. When compared of the activity and the understanding domain, the former was lower than the latter in the performance level. As for the performance level on each achievement criteria by contents, the performance levels were generally low; there was no achievement criterion in which students showing 80% and over in the performance level were 40% and over. Also, there were sufficient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criteria within the same grade groups,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achievement criteria relat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considerably low. In this context, it may be needed to adjust the contents and levels in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the numbers of the criteria based on music factors related to the contents, as well as the levels of the achievement criteria.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