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84.162
18.222.184.162
close menu
KCI 등재
장애학생직업기능대회를 바라보는 특수교사의 시선
Special Education Teachers` Views on Job Function Competi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이세호 ( Se Ho Lee ) , 임경원 ( Kyoung Won Lim )
지적장애연구 17권 2호 205-227(23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1782061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직업기능대회 참가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들의 경험과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장애학생직업기능대회가 진로·직업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장애학생직업기능대회 참가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발에서 출전까지: 소수의, 소수에 의한, 소수를 위한’, ‘ 대회 참여의 긍정적 성과: 학생과 교사 모두 성장하는 기쁨’, ‘대회에 대한 회의감: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대회인가?’, ‘대회의 개선 방안: 시대의 흐름과 대회의 목적에 맞게’의 4개 상위 범주와 15개의 하위 범주, 41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대회 지도교사들은 기능대회 참가를 위해 1∼2명의 소수 학생을 선발하여 반복연습을 통한 지도를 하고 있었다. 장애학생의 직업기능 향상 및 장애인식 개선, 장애학생의 직업적 능력 향상과 지도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보람을 대회의 긍정적인 효과로 보고 있었다. 그러나 소수 학생에게 시간과 노력이 집중되는 점, 지쳐가는 학생들을 보며 느끼는 안타까움, 수상에 대한 심리적 스트레스,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종목 선정 등에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교사들은 향후 공정한 심사 및 대회 운영, 현실을 반영한 종목 선정, 참가대상의 확대 및 적절한 보상 제공 등을 통해 장애학생직업기능대회가 진로·직업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는 축제의 장으로 대회가 발전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he guidelines necessary to make the competition realistically helpful by exploring the meaning and view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taught the students in the Job Function Competition and to suggest the indication of the competition on vocational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analyzes interviews of 7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taught the students in the Job Function Competition usi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Giorgi. As a result of study, it was organized into 4 categories, 15 sub-categories, and 41 meaning units. The 4 categories are ‘to participation from the starting lineup: of the elite, by the elite, for the elite’, ‘benefits of competition: joy of students and teachers to grow all’, ‘Skepticism about the competition: for whom, for what?’, and ‘ideas for impr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and competition purposes’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 selected 1 to 2 students to teach them repeatedly and to let them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At the training process for the competition, disabled students could improve vocational ability and teachers could develop professionalism and find life worth that were affirmative effects of the competition. The vocational training teacher, however, felt sorry for not only time and efforts in favor of small number of students but also tired students to be given psychological stress at participation in the competition and to have doubt about issues not reflecting the realities.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teaching process thought of fair competition, issues reflecting the realities and expansion of the subject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to expect of festival competition that could develop course and vocational education by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for a follow-up stud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