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84.237
18.118.184.237
close menu
KCI 후보
저출산 시대에 재택근무 및 재택근무자의 사례 연구: 서울시 동대문 구청의 재택근무자를 중심으로
Case Study on Home-Based Work and Home-Based Workers in the Low Birth Period: Focused on the Home Based Workers of Dongdaemun Office in Seoul City
이애련 ( E Ryleon Lee )
유라시아연구 8권 1호 225-251(27pages)
UCI I410-ECN-0102-2015-900-001769779

우리나라의 저출산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는 출산과 양육에 대한 부담감은 직장여성의 출산률을 낮추는 원인으로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의 36.9%가 취업주부이고 63.1%는 비취업상태이며 비취업주부의 94.9%가 취업경험이 있으나 결혼과 출산기를 거치면서 취업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취업여성이 갖는 취업과 자녀 돌봄의 이중부담 문제가 큰 것으로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낮은 상태이고 출산율은 저조하며 노동시간은 긴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2007년 우리 나라 여성의 경제 활동참가율은 54.8%로서 OECD 평균인 60.8%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대졸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0.2%로서 OECD 평균인 82.3%보다 크게 떨어진다. 출산에 따르는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아이 낳기 좋은 세상 운동 본부"의 지속적인 운동은 2008년 6월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주관하게 되었다. 여성이 아이를 낳는다는 것은 경제·고용·복지·교육·가치관 등 아이를 낳고 키우기 어렵게 하는 여러 요인들의 총체적인 결과로서 어느 한 주체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힘든 복합적인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가족친화정책은 일영역과 다른 영역에 있어 삶의 균형을 위해 새로운 기업문화를 만들고자 하는 국가정책으로 여성들이 직장생활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환경조성은 출산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해 보건복지부의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현재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보육정책에 대한 자치단체의 소극적인 대책은 저출산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미흡하며 자녀출산과 관련하여 가계에 부담을 주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인 교육비의 지출을 해결하지 않는 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2006년도 OECD 주요국가 출산율은 미국 2.1명, 독일 1.3명, 영국 1.8명, 프랑스 2.0명, 일본 1.3명이며 한국은 1.1명으로 최하위권에 속한다. 우리나라는 양육시설이 부족하므로 자녀양육기간 동안 양육문제로 취업이 어려우며, 자녀양육 후 노동시장으로의 재진입이 힘든 실정이다. 정부는 육아휴직여성 공무원의 재정부담에 대한 해소 및 삶의 질을 향상하고, 육아휴직으로 인한 업무공백에 대한 부담해소 및 효율적인 업무추진을 목적으로 파트타임제 근무와 함께 재택근무를 권장하고 있다. 재택근무는 자녀양육을 하는 직장여성이 일과 가정에서 일과 가정의 책임을 결합시킬 수 있는 직업노동의 하나이다. 재택근무(home-based work)는 산업구조의 변화, 재택근무를 가능하게 하는 통신기술 발달, 기업의 비용절감 등의 이유로 재택근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왔고 우리나라도 재택근무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재택근무가 가정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키며 이에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되는지에 대해 해결책을 모색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는 서울시 동대문구청의 재택근무자 10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였다. 재택근무자의 재택근무에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자아실현도, 남편의 지지도, 재택근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가족적 요인으로는 남편, 자녀, 시부모, 친정부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사회적 요인으로 직장여성에 대한 생각, 재택근무에 대한 사회적 인식, 자녀출산 후 직장에서 어려운 점, 산전 산후 휴가에 대하여, 문화적 요인으로 직장보육시설, 직장환경수준, 직장 내에 수유 공간, 가사노동의 도우미, 직장으로 가는 교통문제를 연구하였다. 재택근무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 재택근무에 영향을 주는 내부적인 요인으로 재택근무 시 중점사항과 업무내용, 재택근무시 시간관리와 재택근무시 업무지시와 보고방법, 개인시간 조정방법, 재택근무복귀 시 걱정되는 문제로 자녀양육문제, 가사노동, 시간활용, 인간관계, 승진문제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재택근무의 영향을 주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 재택근무 대상자 선정, 산전·산휴 휴가, 육아보조금, 육아수유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최근 저출산에 따른 사회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출산·육아 등의 사유로 휴직 중인 취업여성에게 사무실이 아닌 자택 등에서 자녀양육과 업무를 병행할 수 있는 재택근무는 육아문제로 인한 출산기피현상을 해소하여 정부의 저출산 정책에 기여하는 방안으로 권장되고 있다. 이 제도는 가족친화적인 우리나라 여성에게 직장과 가정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강요하는 것에 부담이 덜 되고 여성들이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이 될 것으로 앞으로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Low birth of the reasons the burden of childbirth and parenting to the marriage has brought the problem to avoid delaying childbirth. The low birthrate and aging of Health and Welfare as a policy to reduce the burden of care work and home life balance could do was come up with policies Three kinds of measures to enhance socially responsible for maternity care, family friendly social and cultural composition of the Gender Equity, a sound basic plan was to foster future generations. Women with increasing levels of education enable women to home and work life balance has become interested in home-based work and home-based workers. Main Office 2009 for years, maternity leave for female civil servants working at home were targets. this study, together wi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r home-based work patients who were targeted case management. Home- based work`s affect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have been studied something. personal factors of self-realization, her husband`s support, there is satisfaction for home- based work. Family factors include a husband, children, husband`s parents, her parents were studied in the parents. Social factors at work thinking about women, work from home for the socially aware, of the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after childbirth, Leave after childbirth, maternity leave before and cultural factors at work, work environment, level of feeding space in the workplace, domestic labor assistant, a job as Traffic was a problem. Activation of the work focuses on internal matters as a factor home-based work, job information, and time management. Instructions and reporting to work, personal time to adjust, and then return to work from home are worried about the problem has been studied. The problem is especially worried after returning home office parenting issues, household chores, time management, human relations, promotion problems. Home-based work on the external factors that recognize home-based work subjects selected maternity leave and child care subsidies, child care Nursery studied. Korea`s family friendly policies in the occupation areas and other areas of life balance you want to create a new corporate culture is a national policy. The current low birthrate, aging society`s problems, as well as the government has a strong interest in the problem is solved. The current low birthrate, aging society`s problems home-based work as a way to solve pieces of them for research is required. Home-based work continues to be active in the general corporate research is requir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