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34.62
18.191.234.62
close menu
KCI 등재
남성의 생애 주기를 고려한 탈군사주의 의사소통 문화 교육의 필요성 탐색
A Study on the Need of De- militarism Communication Culture Education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Men
박재현 ( Jaehyun Park )
UCI I410-ECN-0102-2015-700-00176512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의사소통 문화에 영향을 미쳐 온 군사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예비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탈군사주의 의사소통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복학 후 후배 여학생들과의 의사소통 상황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는 지점을 복학생 3명과 여학생 3명을 대상으로 양방향 포커스 집단 인터뷰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역 남학생들은 독선적이며 고압적인 태도로 상대의 감정을 민감하게 고려하지 않고 집단을 중시하며 과업의 성취를 지향하는 의사소통 방식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대해 여학생들은 타인을 배려하는 면에 인색하며 주도권을 함부로 행사하는 의사소통 방식이 안타깝고 무섭다는 반응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예비역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 탈군사주의 의사소통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입증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세 가지 교육 목표 설정 방향은 추후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militarism having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communication culture at workplace and at home in Korea and also to examine the need of de-militarism communication culture education to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their military service. The study adopted a two-way focus group interview to analyze the point of possible conflict during the communication situation with women students after their return to the school. 3 male students who returned to the university after military service and 3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data were all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in the communication method that male students who completed the military service had a self-righteous and high-handed tendency not to consider others’ emotion sensitively but focused on group directing the achievement of tasks. Regarding such tendency, female students who experienced interaction with them showed regret and anxiety of their way of communication because they lacked consideration of others and attempted to take initiative in their own. The research result can be used as an evidence of need of de-militarism communication culture education to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their military service. The 3 education target directions extracted from this study result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specific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I. 서론
II. 선행 연구 검토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