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73.112
3.145.173.112
close menu
KCI 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서 국어 능력과 핵심 역량의 관계
Relation of Korean Language Ability and Key Competence in Competency- based Curriculum
서영진 ( Youngjin Seo )
UCI I410-ECN-0102-2015-700-001765179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계의 화두인 역량 담론에 대해 교과적 이해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국어 교육적 맥락과 시각에서 역량 기반 교육의 출발이 되는 국어 능력·국어과 핵심 역량·범교과 핵심 역량의 의미와 관계 구조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국어 능력과 국어과 핵심 역량을 비교 분석하며 국어과 핵심 역량의 의미에 보다 선명하게 다가가고자 하였으며, 범교과 핵심 역량과 국어과 핵심 역량의 관계 정립 방식도 탐색하며 국어과 핵심 역량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국어 능력과 국어과 핵심 역량은 국어 교육을 통해서 습득해야 할 능력을 가리킨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상호 조응하는 속성도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그 개념에 접근하는 방식에 다소 차이가 있다. 국어 능력에 대한 기존 논의를 참조할 때, 국어 능력은 언어.인지 기반 관점이 반영되어 있으며 구인 분석적 방식으로 접근되어 왔다. 이에 반해 국어과 핵심 역량은 사회 기반 관점이 반영되어 있으며 총체적 수행 능력 중심으로 접근되고 있다. 국어과 핵심 역량은 국어 능력을 구성하는 의미 요소를 포함하기는 하지만, 국어 교육에 대한 사회 다양한 분야의 기대와 요구가 응축되어 있는 보다 확장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국어과 핵심 역량과 범교과 핵심 역량의 관계를 설정할 때는 교과 친화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교과의 자율성과 독자성을 확보하고, 총론을 향한 수렴적 지지력을 보여주는 관계를 추구해야 한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recognition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ence this paper tried to clarify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relation among Korean language ability,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and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and an analysis was done on the meaning of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Lastly, the paper explored the relations of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and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have a common goal in achieving important abilities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modes and perspectives of getting access to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This paper found that previous and current discussions and papers on the Korean language ability mostly reflected the perspectives based on the linguistics or the general cognition and approached in a construct analysis method. In comparison,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should reflect the perspectives based on current demands in the society and the holistic approaches in performance abilities. This broadened concept encompasses current expectations and demands from the society. In addition, its autonomy and unique characteristics should be respected in relation to the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should be able to support the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in a harmonious way.

I. 서론
II. 역량 기반 교육과 국어 교육의 성격
III. 국어 능력과 국어과 핵심 역량의 관계
IV. 국어과 핵심 역량과 범교과 핵심 역량의 관계
V.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