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236.219
13.59.236.219
close menu
KCI 등재
화법 평가의 쟁점과 발전 방향
Issue of Speaking test and Developmental Plan
박재현 ( Jaehyun Park )
UCI I410-ECN-0102-2015-700-001765200

이 연구의 목적은 난맥상의 화법 영역 평가에 대해 그동안 여러 연구자들이 제기하였던 문제를 쟁점화하여 정리하고 화법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면서도 실현 가능한 평가 방향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화법 영역의 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 제기한 여러 문제 중 대립 구도로 설정이 가능한 주제들을 선정하여 각각의 입장에서 옹호하는 바를 정리하여 그 방안의 장단점을 살피고 최적의 해법을 찾을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화법 영역의 직접 평가에 초점을 두어 첫 번째 혼자 말하기와 함께 말하기의 방식의 평가, 두 번째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 세 번째 내용 구성 능력 평가와 전달 능력 평가 등에 대한 쟁점을 다루었다. 화법 평가의 발전 방향으로 상호작용 능력 평가의 강화, 말하기 평가를 위한 구인 설정, 유용성을 고려한 말하기 평가 척도 개발, 전달 능력의 비중 강화 등을 논의하였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issue of problems raised by many researchers regarding evaluation on speech realm under disorder and to investigate a realizable way by improv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peaking test. This study selected subjects for which opposite composition could be made among various problems raised by previous researches regarding evaluation on speech realm, arranged them according to their supporting points from their respective standpoints, looked into merits and demerits of the plan, and reviewed whether the best solution could be found. This study focused on direct evaluation of speech realm conducted mainly in school field. This study treated following issues; first, evaluation on the method of talking alone and talking together; second, holistic scoring and analytic scoring; and third, evaluation on contents composition ability and on communication ability. As a developmental plan of speaking test, this study discussed strengthening of evaluation on interaction ability, establishment of construct for speaking test, development of speech rubric considering usefulness, and enhancement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bility.

I. 서론
II. 쟁점1: ‘혼자 말하기’ 대 ‘함께 말하기’
III. 쟁점2: ‘총체적 채점’ 대 ‘분석적 채점’
IV. 쟁점3: ‘내용 구성 능력 평가’ 대 ‘전달 능력 평가’
V.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