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47.87
3.133.147.87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of Level Relevance of the Nationa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구영산 ( Youngsan Goo )
UCI I410-ECN-0102-2015-700-001765235

이 연구의 목적은 2012년에 고시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 필요한 논의 사항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11월과 12월 사이에 총 2회에 걸쳐 국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 전문가 34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세부 목표’, ‘내용 체계’, ‘구성 원리’, 단계별 ‘총괄 수준’, 단계별 ‘성취 기준’에 대한 개선안 모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교육과정 각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안을 수렴할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시작점에 해당되는 초등학교 급의 단계별 성취 기준에 대한 검토 결과 기준 대비 낮은 수준의 학습 내용, 진술의 불명료함, 보다 정련된 형태로의 재진술 필요 등이 가장 많은 성취 기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이는 단계상으로 4단계, 영역상으로 쓰기 영역에서 가장 빈번히 논의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설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ationa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curriculum was announced in 201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a suggestion concerning how to revise the curriculum. A delphi survey was administered to 34 subjects. 15 were university professors and 2 were elementary schools teachers specializing in Korean education. 15 were university professors and 2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cializing in Korean-as-a-second-language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ce in November and once in December 2014. On a scale from 1 to 5, subjects indicated the validity of “goals”, “contents”, “organization principles”, level relevance of higher-leveled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s (level 1-6) and lower-leveled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s (level 1-6) of the national KSL curriculum. Subjects indicated various ways to revise sections of the curriculum. The most common criticisms of the sections were that they were too easy, they contained unclear statements, or required other stylistic revisions.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