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00.86
18.118.200.86
close menu
KCI 등재
소지류(所志類)의 여성의 성(性) 인식과 그 의미
Women`s Sexual Recognition and Its Meaning on Soji Class(所志類)
박영민 ( Young-min Park )
어문논집 73권 63-94(32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1765922

본고는 所志류를 통해 남성의 언어가 소지 형식으로 여성의 성을 담론화하는 태도를 살피고자 하였다. 옛날의 소지는 글을 직접 쓸 수 없었던 백성들을 대신하여 대필한 것이 많다. 소지를 올리는 사람이 부르는 내용을 아전이나 대필가가 받아서 소지의 형식에 맞게 쓴 것이다. 아전이나 대필가는 대부분 식자층 중에서도 하층이다. 이들이 소지류를 연습하는 과정에 실제 일어난 일이 아니라 실제 일어난 일을 가정하고 소지 형식으로 여성의 성과 결혼 등을 꾸며내기도 하였다. 여기에 남성들의 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이 담겨있다. 현실에서 실제 대필을 할 때에도대필가의 자의적인 판단이 개입되기 마련이다. 대필가는 소지를 올리는 사람의 신분이나 사건을 자신의 주관에 따라 해석하여 기록을 하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妓生仁凱所志」속에 드러난 여성의 정체성, 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문체 등을 살펴보고 소지 형식이 여성의 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밝혔다. 또한 이옥의 「愛琴供狀」및 「必英狀辭」과의 비교를 통해 소지가 기생의 성과 일반양민 여성의 성을 어떻게 차별하여 형상화하는지를 밝혔다. 나아가 왜 작가는 소지 형식으로 여성의 성을 묘사하는가 그 문체적 특징을 밝혔다. 소지 형식으로 여본고는 所志류를 통해 남성의 언어가 소지 형식으로 여성의 성을 담론화하는 태도를 살피고자 하였다. 옛날의 소지는 글을 직접 쓸 수 없었던 백성들을 대신하여 대필한 것이 많다. 소지를 올리는 사람이 부르는 내용을 아전이나 대필가가 받아서 소지의 형식에 맞게 쓴 것이다. 아전이나 대필가는 대부분 식자층 중에서도 하층이다. 이들이 소지류를 연습하는 과정에 실제 일어난 일이 아니라 실제 일어난 일을 가정하고 소지 형식으로 여성의 성과 결혼 등을 꾸며내기도 하였다. 여기에 남성들의 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이 담겨있다. 현실에서 실제 대필을 할 때에도 대필가의 자의적인 판단이 개입되기 마련이다. 대필가는 소지를 올리는 사람의 신분이나 사건을 자신의 주관에 따라 해석하여 기록을 하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妓生仁凱所志」속에 드러난 여성의 정체성, 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문체 등을 살펴보고 소지 형식이 여성의 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밝혔다. 또한 이옥의 「愛琴供狀」및 「必英狀辭」과의 비교를 통해 소지가 기생의 성과 일반양민 여성의 성을 어떻게 차별하여 형상화하는지를 밝혔다. 나아가 왜 작가는 소지 형식으로 여성의 성을 묘사하는가 그 문체적 특징을 밝혔다. 소지 형식으로 여성의 성을 말하는 남성의 언어의 특징은 여성의 성을 희화화한다는 것인데, 소지는 여성의 성을 희화화하는 데에 효과적인 문체로 작용했다.

This dissertation studied the attitude of the male language arguing women``s sex in the Soji style. Soji was a petition that was submitted by all social positions to a government agency during the Joseon era. The petition was a kind of writing assuming litigation against the upper class or the lower class. Since Soji had to be written with a fixed standard and in Idu language, it could only be written after undergoing additional training other than standard style Chinese Character training. Many Sojis have been ghostwritten because some people could not write. Among the literate stratum of society, ghostwriting was done by the lower class. Ghostwriters wrote on behalf of the illiterate population and made a living or earned money for trivial expenses out of it. They practiced Soji style for the sake of ghostwriting. They wrote pieces of work after hearing from petitioners.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literate male``s language was frequently transformed into the language of authority which targeted illiterate female``s sex. Male writers actively intervened and made their voluntary statements with their style of language in cases, characters, states of minds regarding women``s sex. There were other cases when some pieces were written on supposed cases in the midst of transcribing the Soji style writing for ghostwriting. From time to time, authors wrote some fabricated works in the Soji style. 「Gisaengingaesoji」 was not a real petition submitted by the gisaeng Ingae but a fabricated product by a male writer who borrowed the Soji style. Then, why did the writers describe women``s sex in the style? They did it so as to arouse the readers`` interest and peep into women``s emotions as if an actual female writer was describing the real case. In that process, women``s sex was caricatured and the Soji style was borrowed as a good literary style.

1. 문제제기
2. 所志의 작성과 남성의 언어
3. 「妓生仁凱所志」의 여성의 性 인식
4. 이옥의 「必英狀辭」, 「愛琴供狀」 다시 쓰기
5. 마무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