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43.181
3.15.143.181
close menu
KCI 등재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을 통한 직업 문식성 교육방안
The Method of Job Literacy education through Activity Theory
정희모 ( Hee Mo Chong )
작문연구 24권 179-210(32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763007

이 논문의 목적은 직업 문식성교육 방법으로 활동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응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활동 이론은 특정한 공동체 내에서 인간 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는 이론이다. 활동 이론을 사용하면 특정한 상황에서 담화공동체와 장르, 글쓰기의 주체, 글의 목적 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적인 틀을 얻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활동 이론이 상황과 맥락을 중시하기 때문에 직업 문식성교육을 학습하는 데도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한다. 이미 Kine & Wardle(2005)와 같은 학자들은 직업 문식성교육에 활동 이론을 사용하기를 제안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논의를 발전시켜 활동 이론을 통한 텍스트 분석 방법과 모순 문제의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이 논문에서는 활동 이론의 분석 단위로서 활동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활동 시스템은 문식성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 즉 주체, 공동체, 규칙, 도구, 역할 배분, 목적(동기)를 분석단위로 삼아 이들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활동 시스템 내에서 세부 요소들의 상호 관계는 문식성행위가 이루어지는 맥락과 환경의 복합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학생들은 직업상황의 수사적 문맥을 경험해 볼 수가 있다. 활동 이론을 통한 직업 문식성교육은 활동 시스템을 통한 텍스트 분석에서부터 시작한다. 학생들은 기존의 여러 다양한 공동체에서 수행했던 텍스트를 활동 시스템에 맞춰서 분석해 봄으로써 텍스트가 작성되는 유형, 무형의 역학 관계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직업 현장에서 텍스트를 작성해야 할 때 활동 시스템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받을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와 다른 공동체의 텍스트를 분석하면서 직업문식성에 대한 대비를 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활동 이론을 통한 직업 문식성교육에서는 학교 현장과 직업 현장의 차이에서 오는 모순을 극복하는 방법을 배운다. 학생들이 신입자로서 직업 환경에 진입했을 때 가장 많이 겪게 되는 모순은 목적(의도)의 모순과 도구(장르)의 모순, 역할 배분의 모순 등이다. 학생들은 직업 현장에 들어가기 전 이런 모순 상황에 대한 교육을 받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활동 시스템의 다양한 모순을 접해 보는 것이 이런 교육 과정의 한 방안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job literacy education methods based on activity theory. Activity theory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various elements of human behavior within the community. In particular substances, discourse community, genres, subject of writing and the purpose of writing were analyzed using activity theory. Above all, this study introduced the activity system as an analysis unit of activity theory. There are many factors related to literacy acting in activity system such as subject, community, rules, tools, division of labor and motive. The relationship of these factors showed contexts and the complexity of the setting, which would establish literacy acting. First, we could analyze texts through activity system in job literacy education. Also students can prepare for job literacy by text analyzing in school settings and others job community.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job literacy education it was important that newcomers found and overcame contradiction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and professional settings. Students can experience a variety of contradictions such as object, tools, and divisions of labor. They could learn the dynamic interactions of job literacy through activity system.

Ⅰ. 서 론
Ⅱ. 활동 이론의 기본 개념과 연구 논의들
Ⅲ. 활동 시스템과 텍스트 분석
Ⅳ. 모순의 발견과 극복 : 정체성과 권위
Ⅴ. 결 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