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61.246
3.22.61.246
close menu
KCI 등재
동아시아 환상의 지표와 한국 초기서사의 환상성 -지괴,영험서사의 경우-
A Study on the Indicator of East Asian Fantasy and the Fantasy of Korean Early Narrative -Focused on Suijeon(殊異傳) and Samgukyusa(三國遺事)-
정환국 ( Hwan Kuk Jung )
한문학보 32권 3-40(38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763916

이 글은 한국 환상문학의 성격을 그 역사적 소종래를 통해 자기 정체성의 산물로써 위치 짓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초기서사의 환상 지표와 환상성에 주목한 것이다 이는 그동안 서구 환상이론에 입각하여 논의되던연구 환경을 넘어 고전문학의 고유한 환상 성격을 정립하기 위한 첫 도정 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먼저 동아시아 환상의 지표들을 일괄하였다. 가장 이른 시기부터 관심을 두었던 대상은 귀신과 요괴 따위였는데, 이런 비일상적인 소재들은 차제에 구체적인 환상서사를 구현해낸다는 점에서 주요 지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대한 초창기 논란은 이것들의 실재성 여부였으며, 이런 대상에 대한 인간 인식의 문제에까지 확장하는 경향을 띠었다. 그러다가 육조시대에 정착한 도교와 불교는 ``神仙``과 ``觀音``이라는 새로운 을 창안하기에 이른다 이런 소재가 꿈 과 변신 모티프와 어울림으로써 仙界``와 ``冥界``라는 이계의 변주가 정립되었다. 이것이 육조의 지괴 서사로, 동아시아 환상문학의 서막이기도 했다. 이 환상 지표들은 우리의 초기서사, 즉 『殊異傳』과『三國遺事』 등에 그대로 이어져 초기 한국 환상문학을 형성하였다. 『수이전』 일문의 경우 ``神術``, ``暴死``, ``變身`` 등의 변괴 소재가 개별 작품들에 산포되는 형식으로 나타나는데, 다만 기속적 무속적 생사관이 불교적 영험세계와 함께 뒤섞인채 미분화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런 소재는 『삼국유사』 에 와서 좀 더 정련된 서사체계 속에서 구조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불가의 영험담이 전편에 구축된 삼국유사 는 승려는 물론 일반 민인들의 불가의 영험 주체들에 의한 환상적 체험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 골격 안에 특정한 소재-변신이나 꿈, 또는 이계와 이물, 귀신 소재 등-가 『수이전』 처럼 즉자적으로 구현된 것이 아니라 좀 더 복잡한 단계를 거쳐서 집적된 양태를 띤다. 이를 요약하 자면, 환상 소재들이 『수이전』 에선 스틸컷(still cut)처럼 각인되는 반면, 삼국유사 에선 파노라마(panorama)의 형태로 구축되는 형국이다. 당연히 그에 따른 환상적 이미지와 미감의 차이를 예감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우리의 경우 초기 환상담은 불교 영험류가 압도적이고 도교 쪽의 것은 거의 없는 편이다. 말하자면 불교 영험서사와 그 환상적 세계를 통해서 당대인의 욕망이 집적되었음을 확인케 한다. 그러나 이런 소재와 관련 작품들은 불가의 수혜성이 강조된 나머지 진정한 일반 민인들의 환상적 욕망의 결과물로 이해되지 않는다. 이것이 어쩌면 불교사회였던 시대의 至難했던 현실에 대한 집단적, 개인적 위무일 수도 있었겠지만, 반대로 하층의 욕망이 거세된 지배 욕망이 만들어낸 허상일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앞으로 초기서사와 그 환상성의 문제는 같은 시기에 출현한 유가 문인지식인들의 인식의 총화라고 할 수 있는 『崔致遠』같은 傳奇敍事까지 함께 다뤄진다면 좀 더 뚜렷한 상을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indicator of fantasy and the aspect of fantasy in Korean early narrative. This is a part of research to understa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fantasy literature has been continued from the historical root as a product of self identity. This attempt is also a first journey to establish the unique fantasy character of our classical literature by going beyond the research environment that had been discussed based on western fantasy theory. For this, this research firstly bundled up the indicators of East Asian illusion. The objects that were paid attention to since the earliest period were ghost, monster, etc., which materials were the major indicators in respect that they gradually realized concrete fantasy narration. At first, there was a dispute from whether of substantiality of these fantasy indicators to the problem of human awareness on the objects. While doing so, Taoism and Buddhism that were established during Six Dynasties created a new fantasy objects(幻物), i.e. ``Taoist hermit(神仙)`` and ``Avalokitesvara (觀音)``. These were reestablished as the variation of different world(異界), namely ``Taoist hermit``s world(仙界)`` and ``afterlife(冥界)``, being harmonized with the motif of ``dream`` and ``transformation``. This was the short strange narrative of Six Dynasties, the prelude of East Asian fantasy literature. These fantasy indicators also have formed early Korean fantasy literature by being continued to Korean early narrative, i.e. Suijeon and Samgukyusa. In the case of Suijeon, extraordinary materials such as ``Taoist magic(神術)``, ``Tragical sudden death(暴死)``, ``Transformation(變身)``, etc. appear sporadically in each work. However, The view of life and death of shamanism is showing undifferentiated state by being mixed with Buddhist miracle world. This material shows a structured tendency in a more refined narrative system in Samgukyusa. This is established the whole story with Buddhist divine effect tale and enables common people as well as Buddhist monks to experience fantasy by the miracle subjects of Buddhism, e.g. Avalokitesvara and God(天帝). In this framework, specific materials -transformation, dream, different world, other material, and ghost, etc.- show integrated aspect through more complex stages. To sum up, fantasy materials were carved as a still cut in Suijeon by literally realizing fantasy materials, they were established in a panorama shape in Samgukyusa. Naturally, The differences of fantasy image and sense of beauty along with it could be expected. However, in case of Korean early fantasy story,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 is prevalent, with almost no Taoism narrative. In other words,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desires of people of that time were integrated through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 and its fantasy world. but these works are not always the output of fantastic desire of common people, as the result of emphasizing the benefit of Buddhism. This could be probably the collective and personal expression of comfort against very hard reality of that time, which was a Buddhist society, on the contrary, a point should not be overlooked, either, that it could be an illusion that the desire of upper class created by eliminating the desire of the lower class. The fantasy of early Korean narrative could be established with more distinct image when it is treated along with jeongiseosa (傳奇敍事) such as Choichiwon(崔致遠) appeared in the same period which can be said to be an unity of Confucian literary intellectuals`` awaren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