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0.16.184
18.220.16.184
close menu
KCI 등재
문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문학 감상
Achievement Standards of Literary Curriculum and the Literary Appreciation
김현정 ( Hyun Jeong Kim )
문학교육학 47권 241-264(24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764206

문학 교실 속 학생들의 문학 감상은 개별 독자로서의 학생이 개별 작품의 고유한 미를 파악하는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다. 문학 감상의 주요 대상인 ‘개별 작품의 고유한 미’는 그 작품의 장르적 자장 안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학 교실 속 학생들의 문학 감상에 대한 교육적 고려를 위해서는 ‘작품’과 ‘장르’라는 두 가지 주요 요소와 감상 주체의 만남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문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이 일종의 교육 목표로서 기능함에 따라, 학생들의 문학 감상은 ‘성취기준’이 지시하는 문학 지식에 비해 부수적인 것으로 취급될 우려가 있다. 또한 ‘성취기준’은 일종의 목표이자 학습의 결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문학 감상 능력이 점진적으로 향상되는 과정이나 문학 감상의 다양성 등 역시 문학 교실에서 중요하게 취급되기 어렵다.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문학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현재의 체제 안에서는 학생들의 문학 감상의 실제를 고려하기 어렵다는 점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향후 교육과정 구성에서는 학생들의 문학 감상을 주요 목표로 삼고, 문제 해결 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며, 학생들의 작품 감상 능력 향상을 단계적으로 규정하고, 교육내용 위계화의 방향을 세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문학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거시적 관점의 확보가 시급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with achievement standards of literary curriculum and the literary appreciation.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1. In literary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re treated as very important ‘educational objectives’. Then, in literary class, the literary genre or tendency of works can be limited to certain kinds. 2. A great emphasis on achievement standards of literary curriculum weaken the consideration about innate beauty and distinctiveness of a work in literary appreciation. 3. As a result of an emphasis on achievement standards, formation process of literary appreciation ability and hierarchy can be neglected in literary class. 4. We can misjudge the importance of literary appreciation experiences. But students` literary ability cannot be obtained by sum of achievement standards. 5. Achievement standards of literary curriculum are not enough to help students grow up as active, voluntary readers. For considering many points we have seen, I think we should make curriculum considering theses : literary appreciation as educational objectives, formation process of literary appreciation ability and hierarchy and macroscopic view about literary curriculum.

1.서론
2.문학 감상의 맥락에서 본 문학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특징과 한계
3.문학 감상의 특수성을 고려한 문학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4.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