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3.197
3.144.113.197
close menu
KCI 등재
미나하사 구전 전통과 아닷에 나타난 여성의 토착적 이미지
Indigenous images of women in Minahasan narrative traditions and adat
김예겸 ( Yekyoum Kim )
UCI I410-ECN-0102-2015-900-001750809

본고는 미나하사의 토착전통 하에서 이상화되고 상징화되어 있는 여성의 토착적 이미지를 고찰해보고, 미나하사의 문화적 가치, 이상 그리고 기대의 맥락에서 여성을 ‘능동적 사회문화 행위자’로서 재인 식해보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미나하사 구전 전통 및 아 닷(adat: 관습법)을 면밀히 살펴보며, 특히, 아닷은 친족체계, 결혼, 이혼 그리고 재산권등과 관련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본고는 미나하사 여성의 토착적 이미지를 고찰함에 있어서 특정 한 맥락 하에서의 미나하사 여성들의 일상적인 경험, 삶의 패턴이 양산되는 방식, 문화적 혼종화의 맥락에 주목하기 보다는 이상화되 고 상징화되어 있는 여성의 이미지에 대한 이념적이고 관념적인 문 화적 가치 및 기대와 관련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미나하사 여성이 사회문화적으로 남성들과 결 코 동등한 위치에 있었다고 할 수는 없으나, 미나하사의 문화적 가치 와 기대를 담아내는 미나하사 구전 전통과 아닷은 여성의 상보적 그 리고 중재적 이미지에 괄목할 만하게 주목하고 있으며, 여성을 ‘능동 적 사회문화 행위자’로 표방하고 있다고 피력한다. 이는 여성을 ‘수 동적인 사회문화적 수용자’로 인식해온 담론과는 어긋나는 민족지 학적 자료제시이며, 이를 통해서 그 동안 인도네시아 연구에서 도외 시되어 왔던 미나하사 여성의 토착적 이미지를 이해하는데 이바지 하고 더 나아가서는 본고가 동남아시아 여성의 토착적 이미지 연구를 위한 소중한 민족지학적 자료가 되어주기를 기대해본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digenous images of women as they are symbolized and idealized in Minahasan traditions with the aim of re-imagining them as ``active socio-cultural agents`` in the context of Minahasan cultural values, ideas and expectations. The primary sources used in the discussion are Minahasan narrative traditions and adat (customary laws) regarding kinship system, marriage, divorce and property. In so doing, it primarily deals with the symbolized and idealized values and expectations of womanhood, rather than lived experiences of Minahasan women, the ways in which socio-cultural patterns of their lives are generated in a certain context, or their socio-cultural images in the context of cultural hybridization. This paper argues that although the position of Minahasa women was never equal to that of men, the indigenous sources (narrative traditions and adat) point to their complementary role, and show not only their independence but also their importance as mediators, facilitators and coordinators. In other words, indigenous materials clearly provide us with a glimpse into the indigenous accounts of women as ‘active socio-cultural agents’ in the context of Minahasan cultural values, ideas and expectations. It is a countervailing evidence contesting the notion of women as ‘passive socio-cultural receivers’ in the shadow of cultural values and expectations.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comprehension of, in detail, the indigenous images of women in such marginalized Indonesian regions as Minahasa. In this regard, it is also expected to add a significant ethnographic case to Southeast Asian Studies on the indigenous images of wome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