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85.207
18.226.185.207
close menu
KCI 등재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자율성의 조절효과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Moderating Effects of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정명선 ( Myung Sun Chung )
상담학연구 16권 3호 121-138(18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174636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자율성의 보호효과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감정노동과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에서 자율성을 통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5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자율성,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에 관해 측정하였고, SPSS 18.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 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성은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스트레스가 자율성과 상호작용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감정노동과 자율성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되었다. 조절효과가 매개변인에 의해 전달될 때 그 효과는 매개된 조절효과라고 하며 그 모형은 매개된 조절모형이라고 하는데, 본 연구의 매개된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끝으로 이러 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diated moderation of job stress through autonomy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focusing on protective function of autonomy. A total of 205 childcare teachers answered a questionnaire including measures of emotional labor, autonomy,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SPSS Macro.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erms of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whereas, the influence of job stress interacting with autonom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nomy on job stress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ed mode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a moderating effect is transmitted through a mediator, the effect is termed mediated moderation and the model is mediated moderator model. Last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