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9.146
18.118.9.146
close menu
KCI 등재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학생의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Drinking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김누리 ( Nu Ree Kim ) , 이정윤 ( Jungyoon Lee )
상담학연구 16권 3호 253-270(18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174643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하위유형인 분노표출 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전북지역 소재 대 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604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 척 도, 음주문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음주문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인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도 유의한 정적 상관 이 있었다. 또한 분노표출과 분노억제는 모두 음주문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면화 된 수치심과 음주문제에 대한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매개모델 (multiple mediator model) 분석 절차에 따라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음주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에도 각각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노표출은 음주문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분노억제와 음주문제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트스트랩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음주문제 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uch as anger-out and anger-in on the 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rinking problems. The participants were 604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Jeonbuk area. Each participant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STAXI-K), and Drinking Problems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rinking problems and it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out and anger-in. In addition, all thi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rinking problems. Second, the analysis by the procedures on testing multiple mediator models indicated that internalized shame had direct effect on drinking problems and it also affected anger-out and anger-in respectively. Anger-out influenced on drinking problems but the relation between anger-in and drinking problems appeared to be not significant. Third, A bootstrap approach was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of anger-out and anger-in.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anger-out mediated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on drinking problems. Finally,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