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254.122
18.218.254.122
close menu
KCI 등재
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인지치료의 효과 비교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n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이유리 ( Yu Ri Lee ) , 김정민 ( Jung Min Kim )
상담학연구 16권 3호 271-288(18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174644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개 발·실시한 후 그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2개 초등학교 5, 6학년생 500 명 중 아동청소년불안척도 26점과 특성불안척도 39점 이상의 중복 기준에 해당하는 아동을 1차 선 별한 후 진단 면접을 실시하여 최종 선별된 불안장애 아동 27명을 CBT 집단, MBCT 집단, 통제집단 에 무선 배정하였다. CBT 프로그램과 MBCT 프로그램은 각각 주 2회, 50분씩 총 10회기 동안 실시 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사전-사후 CBT 집단과 MBCT 집단 모 두 정서적 특성(불안, 사회불안)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인지적 특성(자동적 사고, 부적 미래예측 편향)과 행동적 특성(사회적 기술)은 CBT 집단에서 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집단 간 사후 검사 비교 시 CBT 집단과 MBCT 집단은 인지적 특성(자동적 사고)과 정서적 특성(불안, 사회불안)에 서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전 프로그램 종료 2개월 추후 CBT 집단은 인지적 특성과 정서적 특성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MBCT 집단의 경우 특성불안, 불안 및 마음챙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집단 간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 추후검사 비교 시 CBT 집단과 MBCT 집단은 인지적 특성(자동적 사고, 부정적 미래예측 편향)과 정서적 특성(불안, 사회불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nd 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to reduce the level of anxiety for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and compare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programs. The first screening selected 500 children who were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based in Gyeonggi Province. Afterwards, the study chose children in the clinical level of RCMAS, and then, selected final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an anxiety disorder through K-SADS-PL interviews. These childr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different groups: a group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 group for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ith no therapy. Children in the first two groups received therapy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s of pre- and post-therapy assessment, children in the CBT and MBCT group were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emotion(trait anxiety, anxiety and social anxiety), but only CBT group was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gnition(automatic thought, negative future prediction)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behavior(social skills). Secondly, the post-therapy assessment revealed that the CBT and MBCT group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cognition(automatic thought) and the emotion(trait anxiety, anxiety and social anxiety). Thirdly, the follow-up assessment revealed that the CBT group was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gnition and emotion, but MBCT group had a positive effect in trait anxiety, anxiety and mindfulness. Fourth, according to follow-up assessments, the effect of CBT and MBCT differed in cognition(automatic thoughts, negative future prediction) and emotion(trait anxiety, anxiety and social anxie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