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3.97
3.149.233.97
close menu
KCI 등재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upon Emotional Problem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김진아 ( Jin A Kim )
상담학연구 16권 3호 359-377(19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174649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는 중학교 시기의 청소년들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정서문제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 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1~3학년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남학생 260명, 여학생 370명으로 최종 630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졌다. 먼저, 기술통계 및 상관분 석을 실시하여 문항반응의 경향성과 측정변인의 관계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정상성 가정에 크게 위반되지 않았으며, 적절한 관계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측정모형 타당성과 모형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산출하여 그 유의도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업스트레스와 정서문제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간에 그리고 자아탄력성과 정서문제 간에는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스트레스, 정서문제 및 자아탄력성이 실제적으로 밀접하게 관련성을 맺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 과이다.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정서문제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중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학업스트레스의 수준과 이로 인한 정서문제 발생의 심각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정서문제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정서문제 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을 통해서 정서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서 교육적 함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academic stress, ego-resilience, and emotional problem in the period of middle school. Specifically, the aim i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upon emotional problem and which role the ego-resilience plays in the relationship of these things. For this, the data on the 1st grade~3rd grade of middle school were used. 630 people were finally taken as the analytical subjects among 260 boy students and 370 girl students. The data analysis was formed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of al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dency in item response and the measurement variable was inspected by carrying ou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s a result, it didn``t greatly violate the assumption of stationarity and was indicated to be existed appropriate relationship. Sequentially, the validity of a measurement model and the comparative verification of a model were carried out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Its significance level was confirmed by calculating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t was shown that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motional problem.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oth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go-resilience and between ego-resilience and emotional problem. This is a result of showing that academic stress, emotional problem and ego-resilience actually have close relationship. Second, the academic stress was shown to have considerable influence upon emotional problem. Accordingly, it could be confirmed the academic stress level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eriousness level of the occurrence in emotional problem due to this. Third, the ego-resilience was indicated to have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motional problem.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emotional problem caused by academic stress can be mediated its influence by ego-resil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