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41.44
18.221.141.44
close menu
KCI 등재
재난대응 정신건강,위기상담 가이드라인의 분석: 트라우마 개입의 중다 지침을 위한 서설
Analysis of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Guidelines: introduction of multiple guidelines for PTSD
김동일 ( Dong Il Kim ) , 이윤희 ( Yun Hee Lee ) , 김경은 ( Kyoung Eun Kim ) , 안지영 ( Jee Young Ahn )
상담학연구 16권 3호 473-494(22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174655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재난 대응 심리 개입이 신속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주체가 해당 단계에 따라 참조할 수 있는 외상 대응 정신건강·위기상담 지침을 개관하고 공통적 속성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해외의 대 표적 사례를 포함하여 국내 매체에서 제시하는 재난 대응 심리지원 매뉴얼, 전문 학회 및 기관의 지침, 기사, 스마트폰앱의 위기상담 개입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국가적인 재난 및 트라우마 사건의 발생 시 심리적 지원 및 개입으로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된 자료는 매뉴얼 11건, 기사 및 칼 럼 20건, 웹사이트 5건, 애플리케이션 11건이다. 자료 분석은 구체적인 관찰을 통해 일반적 패턴을 찾는 귀납적 분석 방법(Inductive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재난 대응 정신건강 및 위기상담 가이드라인은 대상별, 시 기별,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대상은 정신건강 및 위기상담 전문가, 학교 관계자(학교 위기관리 위원회, 전문 상담교사, 교사), 재난피해자(당사자, 친구, 가족), 일반인으로 구분하였다. 시기는 전문가의 경우, 재난 발생 직후, 재난 발생 이후, 사후 관리로 구분하였으며, 학교 관계자의 경우, 학교 정상 재개 이전, 학교 정상 재개 이후, 사후관리)로 분류하였다. 또한 시기별로 각 대상의 역할에 따라 다시 세부 단계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산발적으로 제시되고 있던 국내 재난 대응 가이드라인을 정리함으로써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재난 대응 심리지원 가이드 라인의 내용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향후 효과적인 재난 대응 위기상담 지원을 위해 보완이 필요한 영역과 나 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rehensive psychological support guideline for post-traumatic stress to which people can refer when proper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after a disaster. This study analysed contents of the media for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including handbooks, editorials, websites and mobile applications. This study selected contents that were considered as proper psychological supports for traumatic events such as a national disaster, and in the final analysis, 11 handbooks, 20 editorials, 5 websites and 11 mobile applications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inductive analysis, which was to find out a general pattern through exploring new phenomena or looking at previous data, was used. As a result, the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guidelines were classified as subject, period and stage. The subjects includ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chool officials(crisis management committee, school counselors and teachers) and the general public(the person directly involved, friends and families). The period was divided into ‘Immediately after the disaster’, ‘Ater the disaster’, ‘Follow-up management’ for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into ‘Before the resumption of school’, ‘After the resumption of school’ and ‘Follow-up management’ for the school officials. Additionally, each period was divided into specific stages according to the roles of each subject. This study integrated and rearranged the disaster support guidelines that were provided sporadically, so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at was said in the existing psychological guidelines so far. By doing so, the areas which need to be supplemented were identified,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in the future are provid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