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65.66
18.117.165.66
close menu
KCI 등재
은/는커녕 구문의 양태성 연구
A Study on Modality in "eun/nun keonyeong" Construction
장경우 ( Gyeongwoo Jang )
어문론총 64권 37-61(25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1743829

본고는 ‘은/는커녕’구문의 통사구조와 의미구조를 분석한 후, ‘은/는커녕’구문은 ‘화자 또는 청자가 예측, 기대하는 사태에 결과 사태가 미치지 못하거나 매우다름’을 표현하며, ‘유감’이라는 양태성이 드러난다고 밝혔다. 먼저, 통사적으로 ‘은/는커녕’과 결합한 선행형식을 ‘X’로 보고 후행문을 ‘Y(도/만) VP’와 ‘Y’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X 은/는커녕 Y’의 형식에서는 ‘X’와 ‘Y’가 접속되어 대조를 이루며 통사구조와 의미구조는 일치하였다. 그러나 ‘X 은/는커녕 Y(도/만) VP’의 형식은 ‘X’와 ‘Y’가 접속되어 대조되는 통사구조를 가졌지만, 의미적으로는 선행형식과 후행문이 대조를 이루어서 통사와 의미의 불일치를 보였다. 그러나 ‘은/는커녕’과 결합한 선행형식 뒤에 휴지(休止)가 있었고, ‘X 은/는커녕’이 문장의 부가어이므로, 통사적으로나 의미적으로 모두 (X 은/는 커녕 (Y도 VP/또는 Y))의 구조로 보기로 하였다. 의미적으로는 ‘은/는커녕’과 결합하는 선행어는 화자가 예측, 기대하는 사태, 후행문은 선행형식의 내용에 대한 결과 사태가 담겼다. 따라서 ‘은/는커녕’구문에는 화자가 기대 또는 예측하는 사태가 결과사태에 미치지 못하거나 매우 달라서 화자의 유감스러움이 드러났다. 그러나 반례도 나타났는데, ‘X 은/는커녕 Y’구조였다. 이러한 현상은 ‘X 기보다 Y’구문, ‘X 느니 Y’구문에서도 드러나는 현상으로 문장 전체의 술어인 ‘Y’가 술어를 함의하고 있는 ‘X’를 통제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은/는커녕’구문의 선행형식과 후행문 사태에 대한 척도는 하나의 직선으로 표현할 수 없는, 상황과 맥락에 따른 화자의 주관적 척도였다. 따라서 ‘X 은/는커녕 Y’구조에서는 ‘유감’이라는 양태성도 자주 해소될 수 있을 만큼 수의적이었다. 특히 ‘은/는커녕’에 결합하는 선행어가 열등한 사태일지라도, 후행문은 더 열등한 사태에 놓여 상대적으로 선행어는 우등한 사태되므로 ‘커녕’이 화용상의 최저점이 된다는 구종남(2010:59-60)을 반박하였다. ‘은/는커녕’구문에서 나타나는 양태성이 상황과 맥락에 따라 강도가 달라질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는데, 상황과 맥락, 직관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화자의 행위주에 대한 통제 가능성, 화자와 행위자의 친소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감’의 강도는 달라질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eun/nun keonyeong`` construction indicates the outcome of a situation falls short of or significantly differs from prediction or expectations of speaker or listener, representing the modality of ``regret,`` through an analysis on syntactical and semantic structures of the construction. First, syntactically the preceding element combined with ``eun/nun keonyeong`` is considered ``X`` and the following sentence of ``eun/nun keonyeong`` is classified into ``Y(do/man) VP`` and ``Y``. This paper found that in the ``X eun/nun keonyeong Y`` structure ``X`` is contrasted with ``Y`` and its syntactic structure coincides with its semantic structure. On the other hand, in the ``X eun/nun keonyeong Y(do/man) VP`` structure ``X`` and ``Y`` are connected to show a contrastive syntactic structure, while the preceding element and the following sentence of ``eun/nun keonyeong`` are contrasted with each other semantically, unveiling discordance between the syntactic structure and semantic structure. However, given there is a pause after the preceding element connected to ``eun/nun keonyeong`` and ``X eun/nun keonyeong`` is an adjunct of the sentence,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the both are considered to be ``X eun/nun keonyeong (Y do VP/or Y)`` structure. Semantically, the antecedent word of ``eun/nun keonyeong`` is associated with prediction or expectations of speaker, while the following sentence represents the result of the content of the preceding statement. Therefore, ``eun/nun keonyeong`` construction reveals regret of speaker stemming from the fact that the result falls short of or very differ from expectations of speaker.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with ``X eun/nun keonyeong Y`` structure since ``Y`` as the predicate of the entire sentence cannot control ``X`` entailing the predicate. This phenomenon is also found in ``X giboda Y`` and ``X neuni Y`` constructions. The scales towards the preceding element and following sentence of ``eun/nun keonyeong`` construction were subjective scales of speaker governed by the situation and context. Thus, the modality of regret in ``X eun/nun keonyeong Y`` structure is rather voluntary. In particular, even if the preceding element of ``eun/nun keonyeong`` implies an inferior situation, the following sentence of the construction indicates a more inferior situation or position and thus the preceding word is relatively considered a superior situation or position over the following sentence. In this sense, this paper refutes Koo Jong-nam``s argument that ``keonyeong`` constitutes the lower endpoint of pragmatic scales. Finally, as for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intensity of modality in the ``eun/nun keonyeong`` construction, this paper concludes that although it may diff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context or intuition, the intensity of ``regret`` can change from the analysis on the possibility of speaker``s control over subject of action and the degree of intimacy relation between speaker and agent.

1. 들어가기
2. 선행연구
3. ‘은/는커녕’구문의 통사와 의미
4. ‘은/는커녕’구문의 양태성
5. 나오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