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20.56
18.188.20.56
close menu
KCI 등재
『노걸대』와『박통사』에 나타나는 "파"(罷)의 언해 양상 고찰
A Study on Aspects of Korean Translation Regarding Chinese Ba (罷) in Nogeoldae and BakTongsa
김해금 ( Hai Jin Jin )
인문논총 72권 3호 151-181(31pages)
UCI I410-ECN-0102-2016-000-000459433

본고는『노걸대』와『박통사』에 나타나는 ‘파’(罷)의 언해 양상을 살펴 언해문에 나타나는 ‘罷’의 대응 양상이 어떠하며, 이러한 양상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이본들을 비교.대조하여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노걸대』와『박통사』에서 ‘罷’는 어휘 형식인 ‘무던.다’,‘VP-ㄹ 만 .다’, 종결어미인 ‘-리라’, ‘-(으)마’, ‘-노라’, ‘-니라’, ‘-.다’, ‘-쟈’,‘-(으)라’, ‘-고려’, ‘-쇼셔’ 등으로 언해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언어 형식을 가지고 인칭을 기준으로 ‘罷’의 문법적 의미를 시기별로 살펴본 바 16세기 초에서 17세기 후반에는 ‘무던.다’로 청자에 대한 ‘제안’과 화자의 ‘타협’(妥協)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18세기 후반에는 위의 두 의미외에 화자의 ‘의지/결정’, 화.청자의 ‘청유’, 청자에 대한 ‘명령’, 청자에 대한 ‘약속’, ‘추측/질문’(.測/問)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통시적인 변화를 보이는 ‘罷’의 여러 문법적 의미가 18세기 후반의 이본들에서 공시적으로 공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존현상은 동일 원문을 파악함에 있어서 주어의 인칭이라는 문법적 장치와 ‘罷’의 문법화에 대한 언해자의 인식을 복합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한편으로 공존현상에 ‘무던.다’가 참여하기 때문에 우리는 ‘무던.다’를 통해서 ‘罷’의 통시적인 변화를 포착할 수 있었다. 16세기초에서 18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노걸대』와『박통사』의 이본들에서 ‘罷’의 ‘여러 문법적 의미는 ‘무던.다’에 의해 거의 나타내던 것이 청자에 대한 ‘제안’, ‘타협’과 ‘한정’의 의미가 유지되고 다른 문법적 의미는 점차 다른 언어 형식으로 대체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무던.다’의 사용 범위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罷’의 문법적 의미가 겪은 통시적인 변화는 ‘무던.다’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anslation aspects regarding the Chinese particle ba (罷) by comparing different editions of Nogeoldae and Bak Tongsa. The particle ba was translated into either appraisal constructions such as -atwo mu/mwutenhota, -hwomi mu/mwutenhota and VP-lman kosti mwohota, or word-final endings such as volition marker -lila, promissive -(u)ma, declarative -nwola, -nila, interrogative -nonta, exhortative -cya, imperative -(u)la, -kwolye, -kwola, and -sywosye. By focusing on the subjects of the predicates, it can be shown that the particle ba had undergone a further grammaticalization, and that the translators faced the changes. From the early 16th to late 17th centuries, the particle ba mainly expressed a suggestion for the listener and a compromise from the speaker’s point of view. In late 18th century, however, it functioned also as the speaker’s volition/decision marker, exhortative, imperative, promissive, inferential, or question marker. We can see this particularly in the changes regarding appraisals. Appraisals, which vaguely expressed the several functions of ba in the early stages, had come to be substituted by different constructions in the later stages.

1. 서론
2. 『노걸대』와 『박통사』에서 나타나는 ‘罷’의 언해 양상
3. 시기별로 ‘罷’의 언해 형식이 반영하는 문법적 의미
4. 결론 및 남은 과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