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0.198.173
3.140.198.173
close menu
KCI 등재
역사적 맥락에 의거한 백화점의 공간적 의미에 대한 연구: 파리와 서울의 비교
A Study on the Spatial Meaning of the Department Store by Historical Contexts: A Comparison between Paris and Seoul
정은혜 ( Eun Hye Choung )
UCI I410-ECN-0102-2016-330-000455370

파리의 백화점은 산업화·도시화 및 소비 자본주의의 산물로 박리다매 전략, 스펙터클한 공간의 연출 등을 통해 소형 상점을 중심으로 한 고급 상거래가 백화점에 의해 중산층도 이용할 수 있는 일상 행위로 전환되었다는 공간적인 의미를 가진다. 또한 산업사회로 가는 과정에서 부르주아가 새로운 소비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장치를 제공해 준 장소이자 자본주의를 주도한 혁신의 장소이다. 반면 국내의 백화점은 일제강점기에서의 식민이라는 타율성이 내재되어 발달하였기에, 근대 도시문물의 체험 장소, 계층적 차별화의 장소, 여성의 해방 장소, 계몽 교육장소, 민족주의 마케팅 장소라는 공간적인 의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국내의 백화점은 상대적으로 천하게 여겨졌던 상거래가 최신식으로 설계된 건물에서의 우아한 행위로 변환되었다는 공간적 의미를 가진다. 이에 본고는 역사적인 맥락에서 파리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서울의 백화점 공간에 대한 경제·사회·문화적인 의미를 재고함으로써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새로운 공간적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The department store in Paris is a product of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consumer capitalism, and has a spatial meaning of downward spread of shopping culture through small profits and quick returns strategies and a spectacular display of space. Also, it is the place that provides the device that enables the bourgeoisie to adapt to new consumer society in the process of moving toward industrial society and the place of innovation that leads capitalism. On the other hand, the department store of Korea was establish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developed under the heteronomy of colonization. The ascription of meanings, such as urban culture experiencing place, stratificational differentiation place, modern girl place, enlightenment education place, nationalism marketing place, symbolizes that mean commercial transactions have been converted into graceful acts in the building designed in the state-of-theart technology. So in the historical context, this thesis examines the spatial meanings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Paris and Seoul and presents economical and sociocultural meaning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