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87.121
18.221.187.121
close menu
KCI 등재
야코비의 칸트 비판과 인간의 자유
Jacobi`s Critique on Kant and the Freedom of Human Being
남기호 ( Ki Ho Nahm )
시대와 철학 26권 1호 107-161(55pages)
UCI I410-ECN-0102-2016-100-000447661

이 글은 야코비의 칸트 비판과 실재론적 인식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칸트는 야코비의 『스피노자 이론에 대하여』에 관한 논평문 「사유함에서 방향잡기란 무엇인가?」를 통해 객관적 인식일 수는 없지만 경험적 사용에 유용한 한에서 초감성적인 것의 사유를 허용하는 이성 고유의 욕구 감정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그 후 칸트는 한 번의 서신 교환을 제외하곤 야코비와 직접적인 논쟁에 이르지 않는다. 반면에 야코비는 『데이비드 흄』, 『칸트 철학에 대한 서간』, 『이성을 오성으로 가져가려는 그리고 철학 일반에 새로운 의도를 제공하려는 비판주의의 기도』, 「서문, 동시에 저자의 전체 철학적 저술들의 서론」등 일련의 저술들을 통해 칸트 철학 전반에 대한 비판을 시도하며 동시에 신앙과 접목된 자신 고유의 인식론을 발전시킨다. 야코비의 비판은 칸트에 있어 공간, 시간, 순수오성 개념들의 외부 현실적 사물들과의 비연관성을 지적하며, 무엇보다 선험적 대상과 선험적 통각이 인식 활동을 통해 알려지는 것이 아니라 인식을 위해 전제되는 미지의 X라는 사실을 겨냥한다. 이 때문에 외부 사물들과 신적인 것들로부터 절연된 칸트의 이성은 자기일치와 보편화에 따른 단독 지배에 귀착한다. 이에 반해 야코비는 최종적으로 인식 능력을 감성적 직관과 오성 그리고 이성적 직관으로 세분하고 외부 현실 대상의 직접적 인식에 있어 감성과 이성의 역할을 강조한 반면, 오성에는 개념적 재현 기능만을 부여했다. 즉 감성이 외부 대상의 직접적 파악 능력이라면, 이성은 동시에 이 대상너머 초감성적인 것의 계시를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이다. 그러나 야코비는 직접적 확실성에 경도되어 인식능력들의 매개적 관계를 포착하지 못했으며, 결국 인간의 자유를 비약을 통해 도달하는 비개념적 신앙 대상에 양도하고 말았다.

This article will take Jacobi’s critique on Kant and realistic epistemology into consideration. Kant in the remark about Jacobi’s Ueber die Lehre des Spinoza, namely, Was heisst: sich im Denken orientieren?, brought forward a feeling of reason-intrinsic desire, which allows to think the supersensual, insofar as it is, though no objective recognition, useful for the empirical application. However, Kant did not come to any immediate dispute with Jacobi, exclusive of one-time exchange of letters. On the conrary, Jacobi with a series of writings, David Hume, Epistel ueber die Kantische Philosophie, Ueber das Unternehmen des Kriticismus, die Vernunft zu Verstande bringen, und der Philosophie ueberhaupt eine neue Absicht zu geben, Vorrede, zugleich Einleitung in des Verfassers saemtliche philosophische Schriften, etc. tried to criticize the whole philosophy of Kant and to envelop his own epistemology engrafted on faith. His criticism takes aim at the non-relationship of space, time, and concepts of pure understanding with real things outside ourselves, and, above all, the explanation that the transcendental object and apperception are never knowable through activity of recognition, but only to be assumed as the unknown=X for the condition of recognition. Owing to this, Kant’s reason, which is isolated from external and divine things, lead to autocracy through its self-accordance and universalization. By contrast, Jacobi divides finally the capacity of human recognition into the sensual intuition, understanding, and reasonal intuition, and places, on the one hand, emphasis on the role of sensation and reason in the immediate knowledge of external objects, assigns,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 of conceptional representation to understanding. In other words, sensation is the ability to apprehend immediately external objects, whereas reason is the ability to grasp immediately the revelation of the supersensual over external objects at the same time. However, Jacobi, biased in favor of the immediate certainty, did not seize on the intermediate relation of recognitive abilities, and yielded up ultimately the freedom of human being to the non-conceptional object of faith, which can be only per jumping arrived at.

1. 서론: 계몽의 이성
2. 비평과 부족한 만남
3. 신앙과 실재론적 인식
4. 칸트 비판과 이성의 독재
5. 인식과 자유로부터의 비약과 실재론의 붕괴
6. 맺음말: 실재론의 가능성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