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66.7
3.145.166.7
close menu
KCI 등재
통일과 평화의 길항관계 - 통일이념, 통일국가형태, 민족성과 국가성 -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Unification and Peace - Korean Unification Ideology, State Form of the Unified Korea, Nationality and Stateness -
이병수 ( Byung Soo Lee )
시대와 철학 26권 1호 323-352(30pages)
UCI I410-ECN-0102-2016-100-000447727

1990년대 이후 시민운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평화와 통일의 관계를 바라보던 기존의 관점에 중대한 변화가 초래되었다. 그 동안 평화는 통일을 위한 수단적 가치로만 여겨졌으나, 1990년대 이후 통일과는 목적이 다른 보편적 가치라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평화를 통일과 분리시키는 주장도등장하였다. 특히 통일이 안 되어도 평화공존이 가능하며, 평화를 앞세우면서 통일을 유보하거나 선택적 과제로 여기는 평화우선론적 시각도 확대되었다. 이 글의 목적은 최근의 평화우선론적 시각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통일과 평화의 긴밀한 연관성을 주장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평화우선론의 상호연관된 논리적 근거들을 세 가지 측면에서 재구성하고 비판함으로써 평화와 통일의 밀접한 관계를 논증하고자 했다. 평화와 통일의 관계에 대한 논증은 첫째, 통일의 이념과 관련하여 민족주의와 보편적 가치의 결합 가능성을 통해, 둘째 통일국가의 형태와 관련하여 단일민족국가가 아닌 복합적 공동체의 전망을 통해, 셋째 민족성과 국가성과 관련하여 양자의 대립이 아닌 조화로운 균형의 필요성을 통해 각각 이루어지고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activation of civil movement since the 1990s, the significant change was effected in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of peace and unity. In the meantime, the peace was considered only instrumental value for unification, but it was been spread since the 1990s that peace was the universal value distinguished from unity in terms of its purpose, furthermore claims to separate peace and unity were emerged. Especially, the perspective of peace-priority theory has been extended ; Even if not unification peaceful coexistence is possible, and focusing on peace the unification is reserved or regarded as an optional tas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unity and peace by critically examining the current perspective of peace-priority theory. For this purpose, I would argu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unity and peace through reconstructing the three aspects of interrelated logical grounds and criticizing each. The first argu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ity and peace, in relation to the unification ideology, is achieved through the combined potential of nationalism and universal value. The second argument, in relation to the state form of the unified Korea, is achieved through the prospect of a complex community rather than a single nation-state. The third argument, in relation to nationality and stateness, is achieved through the need for a non-confrontational and harmonious balance of both.

1. 들어가는 말 : 통일과 평화의 분기(分岐)
2. 통일의 이념 : 민족주의와 보편적 가치의 결합
3. 통일국가의 형태 : 단일민족국가와 복합적 정치 공동체
4. 국가성과 민족성 : 충돌과 균형
5, 나가며 :‘적극적 평화’개념과 평화체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