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69.94
18.226.169.94
close menu
베트남 전쟁과 군사 정책결정자의 협상역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egotiating Power of the Vietnam War and Military Decision Makers
최종영 ( Jong Young Choi )
협상연구 18권 1호 77-108(32pages)
UCI I410-ECN-0102-2016-320-000423363

본 연구논문은 군사학 관점에서 일반 협상이론을 군사협상이론에 통합하는 것을 우선 목표단계로 하고, 그 노력의 일환으로 군사 정책결정자의 협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를 제안하고, 학문적 토착화를 위해 실제 사례분석을 통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연구 결과는 제시한다. 첫째, 협상학의 일반 협상이론을 군사협상이론으로 개념화했다. 둘째, 연구자는 군사 정책결정자의 협상력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결정 요인을 확인 했다. 셋째, “그것의 본질을 모르고 문제에 적절한 해법을 찾을 수 없다”는 전제에서 조직구성원의 상호작용 즉, 개인과 조직, 국가와 국가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경험과 기술 그리고 지식과 능력을 갖춘 성공한 군사 정책결정자의 ‘행동 패턴’을 발견했다. 넷째, 협상사례에 관한 기록과 문헌을 통해 한국사에서 주요 인물들의 협상과정을 분석하여 시대변화에 따른 갈등상황을 극복하는 성공적인 협상사례를 입증했다. 미래 군사 정책결정자(독자)들을 전문협상가로 양성하기 위해 군사정책결정자의 ‘행동패턴’을 시금석으로 하여, 한국사에서 위대한 인물의 홍보는 물론 협상에서 보여준 협상역량을 통해 비교우위론에 입각한 Win-win 협상전략을 활용하여야 한다. 다섯째, 군사 정책결정자의 협상역량은 ‘학습과 경험’이라는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사교육과정에 협상교육을 반영하여 현재와 미래의 협상전문가를 육성하도록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한국군은 전문협상가를 육성하기 위한 협상의 개념과 이론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과정을 수립하여 시행해야 한다.

This research paper aims firstly, to consolidate general negotiation theories into military negotiation theories with the military perspectives; secondly, to identify four determinants as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o enhance the negotiation power of military decision-makers; thirdly, to analyze a historical case successfully negotiated by military decision-makers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 Research result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negotiation theories can be conceptualized as military negotiation theory. Secondly, We can identify four determinants to affect the negotiation power of military decision-makers. Thirdly, Understanding that human/international relations that form background of negotiation is a type of interaction, and that it is impossible to find appropriate solutions to a problem without appreciating its essence. An analysis on the shared ‘behavioral patterns’ of military decision- makers equipped with the power of successful negotiation through the learning and experiences. Fourthly, Analyzing the legacy of notable figures in Korean history and assaying the ‘behavioral patterns’ of military decision-makers with successful record of overcoming the tide of change and conflict would help us foster an ability to correct generally observable errors in negotiations. Effective military decision-makers had displayed professional expertise, touted national interest and survival as the great cause, and did not scruple to utilize whatever means and methods to achieve a win-win in negotiations of critical importance. Fifthly, The importance of‘learning and experience’through military curricula focused on our future negotiators with professional expertise. Thus Korean military authorities should establish the academic courses of negotiation theories and applications in the military curricula for teaching offic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