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1.13.37
3.131.13.37
close menu
KCI 후보
내전의 재발방지와 유엔의 안보역할 -아프리카 전후(戰後) 평화구축활동의 성과격차 연구-
Civil War Recurrence and UN`s Security Role: Comparative Analysis on Outcome Divide of Sub-Saharan African Peacebuilding
이신화 ( Shin Wha Lee ) , 이성현 ( Sung Hyun Lee )
UCI I410-ECN-0102-2016-340-000416102

유엔과 국제사회의 분쟁해결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왜 어떤 경우는 평화구축 이 성공하여 내전이 일단락되고 정치ㆍ사회적 안정을 이루는 반면, 어떤 상황에서는 분쟁이 재발하는가? 많은 경우 전후 조성된 평화는 매우 취약하여 평화구축이나 국가 재건을 위한 제도수립, 경제개혁, 선거과정에서 분쟁재발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통 성과 리더십을 지닌 정치지도자와 효율적 국가제도를 토대로 사회통합을 모색하고 국가역량을 강화하면서 분쟁의 근본원인을 제거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내부 적 노력과 더불어 유엔을 중심으로 하는 복합다면적 평화활동이 필수적이다. 특히 유 엔의 평화구축임무는 전후 사회의 정치ㆍ사회적 갈등과 혼란을 관리하고, 국가의 핵심인프라가 제대로 기능하도록 지원할 뿐 아니라, 안보리 승인을 토대로 한 분쟁당사국 안팎의 정통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고는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르완다의 1993년 평 화협정이후 및 1994년 대량학살 이후, 그리고 기니비사우의 내전발생 이후 및 2014년 선거이후의 사례에서 평화구축의 “성과격차”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엔 의 안보역할, 특히 전후 평화구축에서의 임무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함의를 제공하고 자 한다.

Given hard efforts of conflict management by the United Nations(U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y and how did some conflict-stricken countries successfully build “sustainable peace” and promote political and social stability, while did others fail?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N’s “security roles” that are related to the success and failure of post-conflict peacebuilding processes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acebuilding “outcome divide” of Rwanda after the 1993 peace agreement and after the 1994 genocide, and the civil war and political instability of Guinea-Bissau. Accordingly, the paper intends to critically review the relevance and limits of the UN’s peacebuilding efforts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 UN’s security roles in global peace operations.

I. 서 론
II. 유엔평화구축의 특징과 “성과격차”에 대한 비판적 고찰
III. 아프리카 전후 평화구축의 “성과격차”와 유엔의 안보역할 평가
IV.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