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2.214
3.14.132.214
close menu
KCI 등재
탈북여성의 초국가적 어머니 경험
Transnational Mother Experience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한미라 ( Mee Ra Han )
다문화와 평화 9권 2호 160-178(19pages)
UCI I410-ECN-0102-2016-330-000420366

이 연구는 중국에 자녀를 두고 남한으로 입국한 탈북여성의 가족이산 경험을 ‘초국가적 어머니’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탈북여성의 초국가적 어머니 선택 동기, 초국가적 어머니 역할과 갈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자료는 중국에서 혼인하고 자녀를 출산하였으며, 자녀를 남겨두고 홀로 남한에 입국하였던 기혼여성 다섯 명의 구술 생애사이다. 구술자와 연구자는 5년여 동안 지속적인 만남을 유지하면서 라포를 형성했으며, 구술 내용을 녹취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구술자들이 초국가적 어머니를 선택 하게 된 동기는 신분 불안과 시민권 획득이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구술자들은 초국가적 어머니로서 ‘먼 거리 어머니 역할(the long distance mothering)’을 하고 있으며, 죄책감으로 인한 모성 갈등을 겪고 있다. 셋째, 이들은 자녀와 헤어져 살 수밖에 없는 초국가적 가족의 삶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어머니 정체성을 ‘당당한 어머니 되기’로 재구성하면서 남한생활에 적응을 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 on the phenomenon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transnational mother experience. Based on the oral life history interview with 5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who put a child in China, this study examined the reason why and how to be a transnational mother, the transnational mother’s role conflict, and the influence on adaptation in South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dentification and repatriation to North Korean women by Chinese police impacted and motivated to become a transnational mother. Second, North Korean transnational mothers do ``the long distance mother role’ while maintaining the child in China. They suffer physic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ains. Transnational mothering is sustained the activities such as phone calls, sending gifts on birthday, tuition assistance. Third,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accept the transnational mothering. They are reconstructed their mothering role and identity. They make their own new life like marriage, university study, and so on. The North Korean women``s transnational mothers experience in this study reveals the mothering role conflict and the change of mothering ident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