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249.105
3.129.249.105
close menu
KCI 등재
세계문학으로서의 조선근대문학 기획 -김동인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PLANNING AS A WORLD LITERATURE: FOCUSED ON SHORT STORIES OF KIM DONGIN
노태훈 ( Tae Hoon Roh )
민족문학사연구 58권 255-281(27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410229

김동인은 조선근대문학의 1세대 작가로서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문학 개념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했던 사람 중 하나였다. 그는 서구적 의미의 문학 개념이 곧 세계적 동시성을 담보할 수 있는 것으로 믿었으나, 식민지 조선의 현실 앞에서 보편성이라든가 관념성 등의 가치는 쉽게 획득되는 것이 아니었다. 김동인은 소설이 결국 ‘이야기’라는 원천을 공유하고 있으며 그것을 작가가 얼마나 잘 조직하고, 통제할 수 있느냐에 따라 소설의 예술적 가치가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김동인의 인식은 그의 창작 행보에 잘 반영되어 있다. 특히 그가 당대의 형식적 보편성을 담보한다고 여겼던 단편소설은 그의 문학적 변모를 설명하기에가장 적합한 텍스트라 볼 수 있다. 본고는 김동인의 창작 활동을 세 단계로 분절하고, 이를‘공상’과 ‘재현’의 위상학적 관계로 바라보았다. 공상은 보편으로서의 문학, 작가가 구상하는이야기로서의 문학 등을 뜻하며 재현은 식민지 조선의 현실, 당대 사회의 문제들과 맞서려는노력 등을 의미한다. 김동인의 내면에서는 늘 이러한 인식들이 충돌하고 있었으며, 그것은그가 조선의 근대문학이 세계문학이어야만 한다는 기획 아래에서 출발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김동인은 끝내 세계문학으로서의 조선근대문학이 아니라 ‘조선적 문학’의 수준에서 적당히 타협하는 방식을 취했지만, 그가 고민했던 문제들은 여전히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Kim Dongin`s plannig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im was a first generation author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he had considerd it in ‘what is literature’ enthusiastically. Kim thought that a concept of the West literature guarantee to make sure of literary universality. However, it wasn`t easy to get universality or idealit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im tried to find literary universality through source of story and he believed that achievement of author is depend on how controll character properly in the story, how degine the story skillfully. This is reflected in Kim`s literary walking. He insisted short story is contemporary main genre of world literature. So Kim`s short stroy is appropriate to seek his literary transformation. I categorize Kim`s literary evolvement by three phases through topology of imagination and representation. Imagination means literary universality and the story degined by author. Representation means a reality of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o struggle that situation in a literary way.

1. 들어가며-문학, 소설, 작가
2. 번역 가능한 보편으로서의 근대문학(1919∼1925)
3. 조선과 세계, 근대와 전통(1927∼1930)
4. 조선적-재현에서 보편적-공상으로의 경도(1931∼1948)
5. 나가며-세계문학이라는 이름의 기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