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15.149
3.16.15.149
close menu
KCI 등재
1930년대 여성 노동자의 노동, 그리고 계급투쟁
SEXUALIZED LABOR, OVERDETERMINATED CLASS STRUGGLE
배상미 ( Sang Mi Bae )
민족문학사연구 58권 283-312(30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410234

이 논문은 1930년대 활동한 장덕조, 최정희, 김말봉 세 여성작가들의 등단 초기작에 나타난 여성노동자의 성격을 발리바르의 논의를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발리바르는 보편적인 ‘계급’ 범주가 마르크스의 전형적인 노동자가 아닌 다양한 역할을 동시에 가지는 개인들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계급은 성(sexuality)과 성별(gender)이 중요한노동조건인 여성노동자들을 설명하기에 부적절하기 때문에 ‘계급’을 넘어서는 방법론이 요청된다. 이 논문에서는 여성노동자들이 성에 대한 ‘권리’와 ‘자유’를 확보하려는 투쟁에 주목하고, 이것이 보여주는 여성노동자들의 ‘계급’과 ‘계급투쟁’을 분석하였다. 장덕조의 「저회」 는 관리자의 복장시정요구를 따르기 위해 매춘을 해야 하는 동료 노동자의 상황에 분노한 K 백화점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을 소재로 삼았다. 이 투쟁은 성적 착취가 강력한 투쟁의 동력이 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최정희의 「니나의 세 토막 기록」은 여성노동자 니나가 서비스업종에 종사하면서 남성들이 강요하는 성노동의 부조리를 느끼고 공원으로 직종을 바꾼 후노동운동 조직에 가입한다. 공장에 취직한 이후 그녀는 남성들의 시선에 얽매이지 않는 자기 자신을 만들어나가고자 하고, 이것은 남성들이 선호하는 ‘신여성적’ 외향을 버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글의 마지막 분석대상인 김말봉의 「망명녀」는 기생이었던 순애가 창섭으로부터 소개받은 사회주의를 기반으로 기생이 아닌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내용이다. 성별화된 사회구조를 설명하지 못하는 사회주의는 그녀의 노동경험을 충분히 분석하지 못하기에, 순애는 창섭을 떠나 독자적인 행보를 기획한다. 세 여성작가의 소설 속 여성들은 여성들을 성적(sexual) 대상으로 취급하고, 모든 여성들에게 성노동을 기대하는 사회분위기를 공통적인 투쟁 대상으로 삼는다. ‘여성’을 ‘여성’으로 시각화하는 ‘여성적인’ 표지는 여성들의 다양한 역할들을 은폐하고 성적 대상화한다. 노동현장에서, 일상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드러나는 여성 노동자들의 다양한 모습들은 중층결정(overdeterminate)된 그녀들의 성격을 반영한다. 이는 여성노동자계급을 기존의 마르크스주의의 ‘계급’으로 설명하기 어렵고, 여성노동자분석에 성(sexuality)과 성차를 필수적인 요소로 기입해야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This paper analyzed three women author, Jang Dokcho, Ch`oe Chonghui, and Kim Malbong who worked in the 1930s using the theory of Barlibar. Barlibar focused on the orthodox Marxism concept of ‘class’ cannot explain an individual who had been overlapped roles at once especially not typical proletarians. For example, ‘the class’ is not appropriate to analyze female laborers who are influenced on sexuality and gender in the working pla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ethodology to overcome ‘the class’ to see overdeterminated situation among laborers. The struggles of female laborers that achieved ‘right’ and ‘freedom’ for their sexuality are helpful to show another ‘class’ and ‘class struggle’. 「Jo-Hoe」, written by Jang Dokcho, is a story that a strike that was organized by female laborers against forced prostitution for following the supervisors` direction; wearing dandy clothes to perform her work successfully. The strike suggests that a strong struggle power would be not a class contradiction but a sexual exploitation. 「Ninaui Se T`omak Kirok」, written by Ch`oe Chonghui, Nina, a protagonist in the novel, quitted her office job and joined a labor movement organization as well as got a job at a mill factory. When she decided to change her job, she also deprived her appearance of ‘New Women’. It revealed that she wished to define her by herself not male-centric perspective. Sunae, a protagonist of 「Mangmyong-nyo」, written by Kim Malbong, also found herself escaping from a stereotyped woman symbol using socialism that was introduced by Ch`ang-sob. However, socialism was not helpful for her to achieve the purpose because it did not consider sexualized social construction. This is the reason why she left from Ch`ang-sob, and she sought to her future by herself. Women in these novels protested sexist social environment expecially sexualized women symbols and expected sexuality works to women regardless their favor. The feminine appearance is a key factor to sexualize women and cover their various roles in society. Various roles at working places, daily life, and society reflect their overdeterminated characters. This is the reason why female laborers are explained not orthodox Marxism concept of ‘class’ but the sexualities and sexual differences.

1. 들어가며
2. ‘정조’ 수호와 계급투쟁
3. 성적 대상화의 거부와 계급투쟁
4. 사회주의의 한계와 계급투쟁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