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12.145
3.144.212.145
close menu
조선과 명,청의 시가교류(詩歌交流)
A Brief Study of Poetry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Ming and Qing Dynasties
이종훈 ( Zongxun Li )
연민학회 2015.02
연민학지 23권 121-141(21pages)
UCI I410-ECN-0102-2016-800-000380520

조선은 건국이후 정주이학(程朱理學)을 치국의 이론 체계로 하고 명나라와 비교적 안정적인 조공-책봉 관계를 수립하여, 두 나라가 통치이념, 윤리도덕적 가치, 문학형식에서 한층 근접하게 하였다. 조선과 명나라의 접촉은 기본적으로 두 나라사절단의 상호 방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사절단의 대다수는 문학소양이 높은 문인 이었기에, 그들 사이의 외교적인 예의(禮儀), 사무적인 소통, 개인 정감은 시부(詩賦)의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그리하여 두 나라에는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역사적 의의가 있는 시편들이 전해져 내려온다. 조선조에서 편찬한 _황화집_은 조선의 문단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조선과 명나라의 시적 교류의 증거이기도 하다. 두 나라 사절단에서 이러한 특별한 외교방식 취하였기에, 학계에서는 “시부외교”라고 한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조선은 점차적으로 후금, 청초(淸初)문화에 대한 멸시를 극복하였는데, 특히 북학파의 형성과 더불어 여러 면에서 청나라와의 교유를 증진하였다. 이로 인해 조청 양국의 시적 교류는 더욱 활성화되고 심화되었다. 청나라 ‘강건성세(康乾盛世)’ 시기 시가를 포함한 중국의 여러 문학형식은 또 한 번 조선의 학계에 거대한 영향을 미쳤고, 조선 문인들이 당송팔대가를 추앙하는 새로운 고조(高潮)를 촉발시켰다. 조선과 청나라의 관계가 온당하면서도 느슨했기에, 조청문인들의 시적 교류는 다양화의 발전양상을 보였다. 특히 조선의 시가가 각종 경로를 통해 대량으로 중국에 소개되었으며, 일정한 정도에서 중국 문단에 영향을 미쳤고, 역사적 의의가 심원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일으키게 되었다. 조선과 명ㆍ청 문인들의 교류는 예의상의 간단한 접촉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문학, 우정, 감성 등 여러 방면의 교류였다. 동시에 두 나라는 다양한 시문집과 문학 작품의 편찬을 통해 서로를 알게 되었고 서로 영향을 줌으로써 조선의 일반 문인의 시가작품 역시 청나라에서 다량 유통될 수 있게 되었다. 이밖에도 중국에 사행을 다녀왔던, 김상헌, 홍대용,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박지원 등 조선 일류 학자들은 자신의 연행일기와 연행록, 시문집에 다량의 시가(詩歌) 작품을 남김으로써 당대 내지는 그 후의 중한(中韓) 시가교류에 걸출한 공헌을 하였다.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state, Neo-Confucianism was adopted as the theory of statecraft and with the establishment of relatively stable tributary relations with Ming, the two countries became one step closer in governing ideology, moral values, and literary forms. Contact between Joseon and Ming fundamentally consisted of visits by both countries’ emissaries. The majority of the emissaries were elite literati by virtue of accomplished literacy, and their diplomatic etiquette, official communications, and personal feelings were expressed in the form of poetry and rhapsodies. Thus poetic anthologies of historic significance were passed down and remembered by many in both countries. The Collection of Imperial China (Hwanghwajip) compiled in the Joseon Dynasty not only exerted great influence in Joseon literary circles, but was evidence of poetic exchange between Joseon and Ming. Since the two countries’ emissaries chose this particular method of diplomacy, academia refers to it as “poetry diplomacy.” Joseon gradually overcame its contempt towards the Later Jin and early Qing culture in the late Joseon, and intercourse with the Qing increased on all fronts, particularly with the formation of the Northern Learning School. This developed and deepened poetic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various literary forms embraced in the poetry of the High Qing period also exerted a great influence in Joseon academia, and triggered a new mania over the Eight Great Prose Masters of the Tang and Song revered by Joseon literati. As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Qing became balanced and relaxed, poetic exchange between the countries’ literati diversified and evolved. Joseon poetry especially was introduced to China in mass quantities through various avenues, influencing Chinese literary circles to an extent, and was historically significant in causing profound positive interactions. Exchange between Joseon and Ming/Qing literati was not only limited to simple contact out of etiquette, but in several areas such as literature, friendship, and sentiments. At the same time, both countries came to know and influence each other through various poetic and literary anthologies which saw the mass circulation of the poetry of some Joseon literati in Qing. Aside from this, scholars who traveled as emissaries to China such as Kim Sang-hon, Hong Tae-yong, Yi Dok-mu, Yu Duk-kong, Pak Che-ka, and Pak Chi-won left behind many poems in their travelogues and poetry anthologies, making distinguished contributions to later China-Joseon poetry exchange in their tim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