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09.211
3.133.109.211
close menu
KCI 등재
<문학> 과목 교육과정 "목표"의 비판적 고찰
An Critical Approach of the "Aim" of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김혜영 ( Hye Young Kim )
한민족어문학 70권 109-138(30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383469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문학> 과목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제안하는 문학교육의 지향점을 그 실현 가능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009 개정 <문학> 과목 교육과정의 ‘목표’에서는 능력이나 가치들이 나열됨으로 인해 문학교육의 지향점을 분명히 제시하지 못하였고, 각 능력이나 가치의 함량이 커서 제한된 기간 안에 수행되기 어려운 측면을 보여주었다. 또한 ‘목표’가 ‘내용’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목표’, ‘내용체계’, ‘성취기준’이 체계적으로 연결되지 못한 점, ‘성취기준’이 ‘목표’ 수준으로 진술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목표’의 전제가 되는 문학관, 인간관의 문제, 용어가 명료하지 못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학습자 중심의 관점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는 점, 문학의 개념도 상황, 주체, 동기, 사물 혹은 사건 등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과정으로서의 문학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하였다. <문학> 과목 교육과정의 ‘목표’에서는 문학의 속성과 관련된 용어를 그대로 문학교육의 목표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용어들이 문학교육의 목표가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 교수학습의 효율성, 삶의 맥락으로의 전환 가능성 등이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at appraising the validity and the realization probability of the viewpoint which the ‘aim of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premises and at detecting literature education direction centered on humans. First, the ‘aim’ of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was organized, centered on literature, and didn’t lay emphasis on subjective role learners. In addition, the terms of ‘aim’ were not clear and not logic either. Furthermore, ‘accomplishment standard didn’t expose concrete direction of activiti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roblems, the viewpoint of literature has to be conceptualized repeatedly not into ‘a figuralization of valuable experience’, but into ‘a figuralization of response to cases’ to make the subject of literature activity transferred into learners from characters in a literature works. The term, ‘aims’has to be changed into the term used in the course of activity, rather than into a result that has to reach through activity to escape from surmise.

Ⅰ. 문제 제기
Ⅱ. ‘목표’의 실현 가능성 분석
Ⅲ. 실현 가능한 ‘목표’ 구성의 조건
Ⅵ. 나가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