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89.177
3.144.189.177
close menu
KCI 등재
국어 교사의 토론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 양상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Modes on Debate Education by Korean Language Teachers
서영진 ( Youngjin Seo )
UCI I410-ECN-0102-2016-710-000383668

본고는 국어 교사들이 토론 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토론 교육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 토론 교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이나 시행착오는 무엇인지 등을 조명해 보고 토론 교육의 질 제고 및 국어교사의 토론 지도 역량 강화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학교·고등학교 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국어 교사들은 토론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절대 다수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토론 담화에 대한 이해 수준이 충분하지 못하고 토론 지도 효능감도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라고 보기 어려웠으며, 과반수 이상이 토론 교육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국어 교사들은 토론 준비 단계가 토론 수행 경험의 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인식하면서도 토론 준비를 지도하는 데 적극적이지 못했고, 이를 가장 지도하기 어렵다고 호소하였다. 한편 교과서 토론단원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교과서 내용이나 학습활동에 의존하여 토론 교육을 실행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며, 토론 교육 실행 과정에서 교사 역할을 섬세하게 수행하는 데 다소 부족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현재 국어 교사들의 토론 교육에 대한 인식이나 실행 양상은 토론 교육이 갖는 교육적 중요성을 뒷받침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토론 교육 질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정리하면서 토론 교육 단계별로 국어 교사들이 주의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국어교사는 교실 토론 교육의 제약 조건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토론 교육 실행 과정에서 국어교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시행착오에 대한 분석 결과에 터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원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토론 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국어 교사의 토론 지도 전문성이 강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tried to look into general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debate edu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modes. The study explored ways to improve quality of debate education and reinforce debate teaching competencies, and deeper implications. For these purposes,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Korean language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Most of respondents agreed upon the necessity of debate education. However, it seems that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n debate education and a rather lower debate teaching self-efficacy.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debate education. Especially, the teachers, although they acknowledge a preparatory stage of debate is crucial for the quality of debate experience, were not active and felt most difficult in teaching or helping students for this. Despite all the questions continuously raised against debate uni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many still replied upon textbook contents or tasks therein. A lack of accuracy was found in roles played by teachers in a process implemented for debate education. Further, there were some limitations on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modes of debate education for teachers in light of its educational import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se limitations on class debate education and find ways to overcome them. In addition, the education system could provide necessary assistances to teachers and help them to overcome difficulties, trials or errors occurring in debate education implementation processes. Thus these effort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debate education in class and reinforc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eachers in teaching debate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