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61.223
18.188.61.223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의 전공 적합성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회화 전공을 중심으로-
Study of major suitability`s writing training on university -In case of the department of painting-
이병주 ( Byeong Ju Lee )
작문연구 26권 177-199(23pages)
UCI I410-ECN-0102-2016-800-000384826

대학은 글쓰기 교육에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글쓰기와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학생들은 연구 활동의 결과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취업과 같은 실용적인 성취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글쓰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각 대학은 그동안 일률적인 내용을 제공하며 도구적 과정으로 인식했던 작문 교육에 변화를 주고 특성화하여, 작문 교육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노력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본 연구는 전공의 특성에 맞는 글쓰기 교육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기존에 이루어지던 글쓰기 교육의 연장선에서 이론의 활용과 실습 분야에 중점을 둔 것이다. 본 연구는 회화를 전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내용을 고안하여 모범적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적으로는, 우선 회화적 표현과 문장 표현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글쓰기가 회화 활동의 또 다른 차원이 될 수있으며, 두 영역이 매우 친근하다는 점에서 시작하였다. 이때 회화를 이용한 글쓰기 이론을 소개함으로써 이해도와 접근성을 높였다. 다음으로는 실용적 글쓰기의 일환으로 자신의 회화에 서평을 써보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글쓰기에쉽게다가갈수있고, 주제의친근함에힘입어보다수월하게글을써나갈수 있다. 마지막으로회화와관련된기존의서사물에이어쓰기를함으로써, 글쓰기에서 요구되는 맥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상상력과 통찰력을 기를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정 전공 분야에 대한 다소 제한적인 접근이기는 하나 교육수요를 세분화하고 표적화하여, 글쓰기의 실용적인 면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제안은 그동안 도구적 성향이 강했던 작문 과정에 독자성을 불어넣는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University have made an effort to satisfy the demand of consumer. In nationwide, concern about writing and storytelling is steadily increasing. University student show an interest in writing to display research effectively and to have the whip hand over the practical achievement such as employment. So each university which have provided uniformed contents and have recognized writing training as instrumental course, try to change and specialize about targeting student. At the current of such times, this study suggests writing training that focus on each major. This keep the accent on application and practice of theory on extension of previous writing training. This study try to invent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student who major painting and present model. In a method, this is started on the point of similarity between the painting expression and the compositional expression. At the same time by introducing compositional theory, it is more possible that student understand and approach at writing easily. Second, as a part of practical composition, writing criticism about painting which they create themselves is done. In this process student can write more easily on the strength of topic’s familiarity. At last, the following writing about existing narrative make them develop imagination and penetration that is demanded in composition. This study have a meaning in which is cellularized and targeted about educational demand, reflected on practical aspect of writing, in spite of having limit more or less. In addition, with this suggest there will be another significance by inspiring identity to compositional lecture that is recognized as the instrumental learning.

Ⅰ. 머리말
Ⅱ. 전공 적합성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
Ⅲ. 교육의 방법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