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17.109
18.222.117.109
close menu
KCI 등재
문장 성분 교수를 위한 "문법 교과 내용 지식" 연구
Subject Content Knowledge for Sentence Elements Education
이지수 ( Ji Su Lee ) , 정희창 ( Hui Chang Jeong )
새국어교육 104권 229-259(31pages)
UCI I410-ECN-0102-2016-710-00037571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학습자는 교육과정이나 교재의 것이 아닌,그것을 대상으로 교수자가 새로이구성한 교수ㆍ학습의 최종적 결과물을 교육 내용으로 받아들이게 된다.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 내용을 구상하기 위해 교사가 준비해야 하는 ‘교과 내용 지식’을다룬 연구이다.학교 문법에서 문장 성분 교육은 단어 단위의 문법 지식과 문장단위의 문법 지식을 아우르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중학교 1-3학년군에서는 이러한 문장 성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그것을 문장으로 확대해 나가는 교수.학습이 이루어진다.본 연구는 중학교 급에서 문장 성분 교수.학습을 위해 교수자가 구상하게 되는 교과 내용 지식을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이러한교과 내용 지식은 교수.학습 국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교사의 경험적 지식이 방법적으로 다시 수렴되는 과정을 거치는데,본 연구 역시 이러한 방법을 통해 문장 성분 교과 내용 지식을 제안하였다.교육을 계획하는 모든 단계는 실제 교수.학습 국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누적물이 다시 순환적으로 교육 구상 의 단계를 세련화하는 참조점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Learners accept the substantial outcome of teaching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other words, rather than contents in curriculums or textbooks, the contents newly constructed by a teacher during class becomes the actual contents of education.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subject content knowledge’ that a teacher should excogitate for planning ‘actual contents of education’ In school grammar, the sentence elements education has an important role that connects grammatical knowledges of both morphology and syntax. In junior high school 1-3 grade group, Teaching and learning of sentence elements takes place to establish the basic concepts and to extend it to the sentence level. This study presents the categorization of subject content knowledge that a teacher excogitate for teaching sentence elements in junior high school class. A teacher continuously converges his/her teaching experiences into subject content knowledges. This study methodologically accepted this process and conducted the research. All stages of planning education should accompany the understanding of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phase. It is desired that the cumulation of those studies can be cyclically used as the reference for polishing education planning stag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