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41.214
18.221.41.214
close menu
KCI 등재
개발효과성 관점에서 개발협력사업 평가체계의 분석 - 독일,영국,한국의 개발협력사업 평가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International Aid Evaluation Systems for Evaluating Development Effectiveness: A Comparative Study of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South Korea
장효진 ( Hyojin Jang ) , 김우림 ( Woorim Kim ) , 권혁주 ( Huckju Kwon )
UCI I410-ECN-0102-2016-350-000373260

본 연구는 ``개발효과성``이라는 새로운 원조패러다임의 관점에서 독일과 영국 그리고 한국의 개발협력사업 평가체계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개발협력사업 정책평가체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최근 선진원조기관은 미시적인 원조효과성 평가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원조가 개발도상국의 궁극적인 발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고 환류하기 위한 평가설계를 개발하고 있고, 이를 중심으로 평가체계를 전환하고 있다. 한국은 2010년 OECD-DAC에 가입함으로써 공여국으로서 수원국의 개발수요에 부응하는 원조모델을 설계하고 구축해야 하며,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것이라는 기대도 받고 있는 입장이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원조사업평가는 아직까지 프로젝트 사업평가와 운영상 효율성 측면의 평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바, 향후 개발효과성을 반영한 평가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ses aid evaluation systems in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South Korea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 in order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s case. In recent years, aid organizations in many advanced donor countries have admitted the limitations of micro-level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concept of aid effectiveness. In turn, with the concept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they have devised new evaluation design to address the extent to which foreign aids have contributed in developing countries’ national development and provide feedback to future policy-making based on the results of evaluation. Meanwhile, South Korea has received attention from the aid society to suggest new aid model corresponding to developing countries’ needs. This is because that South Korea is the first country which successfully turned into a donor from an aid recipient as joined the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in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in 2010. However, the result shows that, in South Korea, most ODA policies have been evaluated at the project level and aid organizations still focuses on operational effectiveness. In this sense, there is room for South Korea to improve its aid evaluation system,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into the system.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의 검토
Ⅲ. 원조기관의 평가체계와 분석의 틀
Ⅳ. 해외 주요 공여기관 및 국내 공여기관 평가체계 비교·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