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71.12
18.223.171.12
close menu
KCI 등재
순회학급교사의중도,중복장애학생수업및교육에대한인식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Itinerant Class Teacher on Instruction and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오철진 ( Chuljean Oh ) , 신현기 ( Hyunki Shin )
UCI I410-ECN-0102-2016-370-000349928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인 심층면담법을 활용하여 순회학급 수업 현상을 밝힘으로써 수업의 질적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순회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심층면담에는 A시에 근무하는 순회학급 교사 6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순회학급 수업의 목표에 대해서 교사의 경우 ``다양한 경험의 제공``에 두고 있었으며 학부모의 경우는 학습보다는 관계적인 면에 의미를 더 크게 두고 있었다. 실제적인 수업내용으로는 감각적·신체적 자극, 공예·공작, 음악과 놀이, 책 읽어주기, ICT 활용 등의 활동을 통하여 교과교육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발달적 자극 제공을 추구하기도 하였다. 이에 반해 순회학급 학생의 반응은 교사의 기대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아 연구참여자들 나름대로의 대처전략을 찾아 적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육당국의 순회학급 교사의 전문성 향상 대책 및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치료지원이 병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itinerant classroom instruction (or homeboun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identifying the itinerant class phenomenon and to find ways of improving the expertise of itinerant teachers. This study utilized an in-depth interview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ix itinerant teachers working in the city A take part in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ereas teachers sought to provide a variety of experiences through the class, parents wanted promotion i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rather than learning. The actual activities of the classes are mainly composed of sensory and physical stimulation, craft, music and recreation, reading books, the use of ICT. Teachers can provide academic learning or developmental stimulation to their students with those activities. But in many cases,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itinerant class reacted unexpectedly, so teachers were coping with their own strategies. Through this study, we suggested as following.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pursue measures to improve the competence of itinerant classroom teachers. The systematic therapeutic suppor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ust be followed.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