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87.103
3.144.187.103
close menu
KCI 등재
국내지적장애학생대상읽기중재연구의특징및질적지표분석
Evaluating the Quality Indicator of Reading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이예다나 ( Yedana Lee ) , 김소영 ( Soyoung Kim ) , 길한아 ( Hanah Kil ) , 임보라 ( Bora Lim ) , 손승현 ( Seunghyun Son )
지적장애연구 17권 3호 101-129(29pages)
UCI I410-ECN-0102-2016-370-000349948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15년 6월까지 발표된 읽기 중재연구 24편을 중심으로 읽기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중재 연구에서 제시하는 중재의 특성과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그 뒤 Gersten 외(2005)와 Horner 외(2005)의 질적 지표를 Jitendra 외(2011)의 3점 평가척도를 적용하여 각 중재연구의 질을 평가,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읽기 중재 연구의 증거기반 중재가 무엇인가를 제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부분 단일대상연구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연구가 이뤄지고 있었으며, 3편을 제외한 21편의 연구들이 연구대상과 선별기준을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이 학교에서 이뤄지고 있었으며 연구자가 자체 제작하여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한편 2011년 이후 컴퓨터 혹은 미디어를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중재연구의 특성을 살펴본결과, 읽기의 하위 영역 중 음운인식은 한편도 수행되지 않고 있었으며 유창성과 읽기 이해를 종속변인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중재는 전체 12회기~42회기, 4주~42주간, 회기 당 30~50분간 진행되고 있었으며 대부분 학교 교실에서 이뤄지고 있었다. 또한, 효과크기의 경우 단일대상연구는 유창성과 어휘, 읽기 이해에서 각각 1편씩을 제외하고는 80% 이상의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준)집단설계연구 역시 Cohen’s d > 1.25 이상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낸 연구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질적 지표 충족도 평가결과 증거기반 실제의 기준을 만족하는 연구는 (준)집단설계연구 중 단 1편으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효과적인 증거기반 중재를 선정하는 데에는 다소 미흡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추후 지적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증거기반 중재를 위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공하려고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studies by addressing the trend of reading intervention studies focusing on 24 intervention research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June 2015 targeting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quality of each intervention research was evaluated using the scale of 3 criteria suggested by Jitendra et al.(2011), Horner et al.(2005) and Gersten et al.(2005) to show evidence based intervention of reading intervention research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earches are performed at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using single subject design method and 21 researches, except for 3, are presenting subjects of study and screening criteria. In addition, most of researches are being performed at school and their results are prepared and presented by researchers. In the meantime, researches utilizing computer or media are getting more popular since 2011. Secon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research, phonological awareness which is a sub-area of reading is not performed at all while most of the researches are tak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as dependent factors. Intervention is performed 12 to 42 times for 4 to 42 weeks and each time takes 30 to 50 minutes and it is usually performed at class. In addition, single subject research showed considerably high effect size having more than 80% except for one research from fluency,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respectively. Many of group design researches showed high effect size having Cohen’s d>1.25. Lastly, regarding the evaluation result of sufficiency of quality indicator, there was only 1 research which satisfied the criteria for evidence-based practice so it was not sufficient to select the effective evidence-based intervention. This study is to serve as a foundation to suggest implications and meanings of effective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