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233.58
18.216.233.58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어 "없이"의 유형과 일본어 대응 표현에 대한 연구 -한일 병렬 말뭉치 용례를 중심으로-
Study on Korean "없이" adverbs and their Japanese equivalent patterns based on examples in the Korean-Japanese parallel corpus
오선영 ( Seon Yeong O ) , 다키구치게이코 ( Takiguchi Keiko )
어문론총 65권 37-69(33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316484

이 연구는 한국어의 ‘없이’류 부사어를 대상으로 하여,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어 ‘없이’ 구성의 형태·통사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되는 일본어 표현이 한일 병렬 말뭉치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없이’는 ‘-이’의 문법 범주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파생 부사와 부사절을 이끄는 부사어로 볼 수 있는데, 현대 한국어 말뭉치 용례를 통해 ‘없이’를 살펴본 결과, 한국어의 ‘-없이’류 부사어는 단독 부사형, ‘어근+(조사)+없이’형, 통사적 구성, 관용적 구성 등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국어의 ‘없이’는 사전적 기술에 따르면 대체로 일본어의 ‘なく’ 또는 ‘ず’로 대응이 되는데, 한일 병렬 말뭉치 용례를 분석해 보면, 한국어의 ‘없이’에 대응하는 일본어 표현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일본어 대응 표현을 유형별로 정리하면, 크게 8가지 정도이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ず’(ずに、ず と)이다. 그리고 한국어의 ‘없이’는 형태적으로나 의미적으로 부정을 표현하는데 반해, 일본어 대응 표현에서는 부정의 의미가 형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밖에 한국어 ‘없이’가 일본어에 대응될 때 통사적으로 다른 표현에 대응되는 경우, 접두사 ‘無’에 의해 파생된 어휘로 나타나는 경우, 조사 ‘も’ 가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일반적인 부사로 대응되는 경우, 대응 표현을 찾기 어려운 경우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Korean ‘없이’ adverbs in the corpus and to analyze their Japanese equivalents in the Korean-Japanese parallel corpus. Korean ‘없이’ adverbs include both ‘없다’ adjectives that become adverbs with the help of the affix ‘-이’ and adverbs that take adverbial ending ‘-이’ when ‘없다’ is used as predicate of a subject. This study sees both as ‘없이 ’adverbs and examines the patterns and features through the analysis of examples in the corpus. A dictionary describes the japanese equivalent for the korean ``없이`` as ‘なく’ or ‘ず’, but in fact, there are many other equivalents found when examples in the corpus are analyzed and these can be grouped into 8 different patterns. The most commonly found pattern is that ‘ず’(ずに、ずと) is used as the Japanese equivalent for Korean ‘없이’. The next common pattern is that there is no morphological negation found in Japanese equivalents while korean‘없이’ expresses negation both morphologically and semantically. Other patterns show that the Japanese equivalent contains the requisite particle ‘も’, or the Japanese equivalent is derived from prefix ‘無’. Also, some Japanese equivalents can be syntactically different expressions or common adverbs while others can not be found at all.

1. 머리말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 한국어 ‘없이’의 유형과 특징
4. 한국어 ‘없이’에 대한 일본어 대응 표현의 유형과 양상 분석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