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86.56
3.139.86.56
close menu
KCI 등재
남호 영기(南湖永奇)의 가사 창작과 모연의도의 문학적 형상화
A study on creation of Gasa(歌辭) by Namho-Yeonggi(南湖永奇) and literary configuration about his purpose of propagation
최형우 ( Hyung Woo Choi )
어문론총 65권 151-178(28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316520

19세기 불교 사찰은 국가로부터 억압을 받으면서도 그 세를 확장하고자 각종 불사를 행하였다. 1855년에 시작된 수도산 봉은사의 화엄경 판각 및 판전 중건불사는 이러한 움직임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으며, 남호영기에 의해 주도되었다. 남호영기는 이러한 불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모연(募緣)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모연활동을 위하여 <광대모연가>, <장안걸식가>를 창작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광대모연가>, <장안걸식가>에는 남호영기의 불사를 위한 모연의도가 문학적으로 표출되고 있는데,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창작된 두 작품이라 할지라도 각기 다른 형태로 형상화되어 있어 주목할 만하다. <광대모연가>는 작품 전반부의 화자를 대중에게 밀착시켜 공감대를 넓히고, 후반부 화자를 통하여 모연의도를 직접 제시하는 형태로 모연의도를 형상화하고 있다면, <장안걸식가>의 경우 주된 모연의 공간이 되는 한양 성내의 경물을 다양하게 언급함으로써 일반 대중들과의 공감대를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모연의도를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모연의도는 결국 불사를 위한 사찰의 물적, 인적 경제력의 확보라는 현실적인 문제와 직결되는 것이다. 대규모 불사를 성공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경제력은 필수적인 조건인데,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당시 널리 유행하던 가사의 창작과 향유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남호영기가 창작한 두 편의 가사는 이러한 큰 규모의 불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야 했기 때문에 각각 효과적인 방식으로 모연의도를 형상화하였던 것이다.

19th centrey, Buddist temple was oppressed from government, but acted many religious works for expanding congregation. It was representative example that Namho-Yeonggi(南湖永奇) published 『Hwaomkyung(華嚴經)』 and constructed structure for keeping printed editions. Namho-Yeonggi got involved in missionary work, for these works were concluded successfully. For missionary work, he makes two poems, and . So two poems were reflected about Namho-Yeonggi’s consciousness, but two poems have different method of figuration about his consciousness. express consciousness directly through change of narrator. In contrast express consciousness indirectly through descripting about inside of Hanyang-city. This Consciousness in connection as acquiring the economy about doing religious works successfully. Gasa(歌辭) is effective for many people was enjoyed this style at that time. Two poems that Namho-Yeonggi created have different method of figuration about his consciousness, because he must have the economy power for publishing Hwaomkyung(華嚴經) and constructing structure for keeping printed editions.

1. 서론
2. 조선후기 사찰경제와 모연(募緣)활동
3. 가사(歌辭)에 표현된 남호영기의 모연의도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