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51.241
3.22.51.241
close menu
KCI 등재
영조(英祖)의 국문시가 향유와 어제 <권선지로행(勸善指路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King Yeongjo`s Taste in Korean Vernacular Poetry and his Gwonseonjirohaeng
김승우 ( Seung U Kim )
한국시가연구 38권 251-284(34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263848

본고에서는 <어부사>, <도산십이곡>, <권선지로가> 등 국문시가 작품에 대한 영조의 관점과 평설을 고찰하고, 그와 관련된 어제를 발굴 및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영조는 국문이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는 물론, 사대부가나 왕실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있으며, 특히 수신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보았다. 이러한 국문관을 감안한다면 국문시가에 대한 그의 기호 역시 도학에 대한 지향이나 자기 성찰의 기조를 띤 고아한 작품들에 대개 경사되어 있었으리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실제로 영조는 잠저시에 <어부사>를 얻어보고서 탄복하여 국한문으로 등사하였고, 이후 <도산십이곡>과 <권선지로가>를 그 아래에 붙여서 소장하였다. 당초부터 이황을 흠모해 왔던 영조는 이들 작품을 모두 이황이 지었으리라는 기대를 품게 된다. 국문시가에 대한 그 같은 관심이 개인적인 애호를 넘어 대내외에 보다 분명하게 표출되는 계기는 <권선지로가>를 통해 마련된다. 재위22년 6월 무렵에 영조는 자신이 애호했던 국문시가 작품들이 실제로 이황의 소작이라는 전언을 듣고서 감격스러워한다. 이에, 일전에 <권선지로가>의 구절을 차용하여 지어 놓고도 섣불리 공표하지 못했던 어제시를 근신들에게 내보이며 개작을 시도하기에 이른다. 어제를 표현 및 취지 면에서 <권선지로가>와 완연히 합치시킴으로써 유자를 우대하는 후덕한 군주로서의 위상을 현시하려 하였던 것이다. 다만 ‘권선지로행’이라 이름 붙인 어제에서는 수평적 탐문만을 주요한 구도로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수직적 완성을 앞세웠던 <권선지로가>와 다소 차이를 보인다. <권선지로가>에서의 목표가 ‘공자의 집’을 쌓아 올려 낙성하는 것이었다면, <권선지로행>의 지향은 일련의 여정을 거쳐 공맹과의 만남을 달성해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조는 <권선지로행>을 도산서원에 비치하고 관원을 보내 치제함으로써 어제에 담긴뜻을 널리 공론화하고자 하였으나, <권선지로가>를 이황의 작으로 단정할 근거가 없다는 조정의 공의에 따라 계획은 정침되었고, <권선지로행>도 정조 초년에 영조어제를 편찬할 때에야 비로소 수습되어 전래될 수 있었다.

This article aims to look into King Yeongjo(英祖)’s perceptions of Korean vernacular poems such as Eobusa(漁父詞), Dosansibigok(陶山十二曲), and Gwonseonjiroga(勸善指路歌) an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his own Chinese poem Gwonseonjirohaeng(勸善指路行) after the manner of Gwonseonjiroga. King Yeongjo considered that Korean alphabet Hangeul was useful not only to people in general but also to the literati and the royal family members especially in practicing moral culture. That was the main reason why he had a fondness for Korean vernacular poems of dignity. In fact, even before his accession, King Yeongjo was deeply impressed by Eobusa, so he transcribed its text along with those of Dosansibigok and Gwonseonjiroga. Furthermore, because Yeongjo admired Yi Hwang for his personality and learning, he hopefully regarded these three works as having been composed by Yi Hwang. King Yeongjo’s such taste in Korean vernacular poetry was manifested while he rewrote his own work. King Yeongjo wrote a Chinese poem after the model of Gwonseonjiroga at one time before June 1746, and afterward he was informed that Gwonseonjiroga as well as Eobusa and Dosansibigok had been actually composed by Yi Hwang. With deep emotion, he decided to revise his work so as to make it more closely resemble Gwonseonjiroga in expressions. Nonetheless, King Yeongjo’s revised work named ‘Gwonseonjirohaeng’ somewhat differs from Gwonseonjiroga in poetic sentiment although they have almost the same theme that advises people to seek after Confucianism. That is, Gwonseonjiroga compares the pursuit of Confucianism to the process of building ‘Confucian House’ while Gwonseonjirohaeng draws an analogy between studying Confucian teachings and a kind of trip to the place where Confucius and Mencius are seated. After completing the revision, King Yeongjo intented to present Dosanseowon in Andong, the lecture hall in which Yi Hwang had taught his disciples in his later years, with Gwonseonjirohaeng. However, Several subjects resolutely insisted that King Yeongjo cease his scheme because there was no concrete evidence that Yi Hwang actually composed Gwonseonjiroga. King Yeongjo was reluctant to accept their assertion, so his Gwonseonjirohaeng also could not be made public after al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