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0.44
3.149.230.44
close menu
KCI 등재
조선시대의 미인도와 여성초상화 독해를 위한 제언
A Study on Joseon Miindo and Woman Portraits
박영민 ( Young Min Park )
한문학논집 42권 41-75(35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259711

본고는 학계와 미술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美人圖”라는 명명이 과연 타당한가라는 의문에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의 그림에는 신윤복의 「미인도」 계열 畵像이 다수 전한다. 대부분 기생을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이 화상 계열의 주인공이 아름다운 것은 분명하지만 각각의 그림을 모두 “미인도”라고 명명하는 것이 과연 적절할까? 신윤복의 「미인도」 계열에 “미인도”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근대 이후이다. 현재 신윤복의 「미인도」 계열 화상을 초상화로 볼 것인가 미인도로 볼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즉 미인도의 초상화로서의 의미를 강조하는 주장과 초상화와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하는 주장이 갈라진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 두 주장은 본격적인 논의의 장을 펼친 적이 없었다. 본고에서는 여성 전신 단독상을 미인도라고 부르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아가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그림을 명명하는 관습적인 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특정 대상을 명명할 때에는 설령 화가나 소장자의 이름을 모르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림의 특성이 드러나는 명명이 필요하다. 여성 전신 단독상을 모두 「미인도」 라고 한다면 각각의 그림의 특징이 드러나지 않아 명명의 의미가 약해진다. 또한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에 미인도라고 명명했던 그림의 실체와 근현대에 미인도라고 명명했던 그림의 실체가 달랐음을 고증하고 신윤복 계열 그림을 일률적으로 미인도라고 명명하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본고에서는 미인도라는 명명이 여성 화상을 남성의 감상의 대상으로만 보는 데에서 기인함을 밝혔다. 그런데 그림의 대상이자 주인공인 여성은 자신의 화상을 그릴 때에 깊이 관여하였다. 따라서 여성 대상 화상을 감상할 때에는 화가, 감상자뿐만 아니라 그림의 대상이자 주인공인 여성의 태도가 어떠하였는가도 살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questioned the academia and fine arts circles`` general naming of Joseon woman portraits Miindo (Portrait of A Beauty), challenging its validity. A number of Sin Yun-bok``s Miindo images among Joseon paintings have been handed down. Most of them presumably portray Gisaeng (female entertainer). Of them, Sin Yun-bok``s Miindo works are so classic that even amateurs, and fans of the beauty of landscapes like them. The image in the so-called Miindo is clearly beautiful, but could all these Miindo works deserve being named Miindo? This study criticized the naming of works portraying a full-body woman as Miindo, and the customary practice of naming paintings of woman as Miindo. Naming of paintings - although the painter or the collector of the painting is not known - should reflect the painting``s characteristics. Naming of all full-body woman portraits as Miindo does not tell of the painting``s characteristics, weakening such naming. In addition, this study proved that Joseon Miindo works and paintings called Miindo in early and recent modern tim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riticized the naming of Sin Yun-bok-style paintings as Miindo. This study disclosed that the reason for naming Sin Yun-bok-style paintings as Miindo is because the woman image is seen as only the object of men``s viewing. Women, who were the model of portraits, actually, were deeply involved in the drawing them as a portrait. Thus, it was emphasized that not only the woman model in the portraits, the painter, and the viewer, but also the woman``s attitude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It was only after the recent modern times that Sin Yun-bok``s Miindo-style paintings were named as Miindo. It is argued whether Sin Yun-bok``s Miindo-style images are seen as portraits or Miindo. There are mixed opinions as to whether such images are Miindo portraits or normal paintings. But, these two arguments have not been fully discussed.

1. “美人圖”, 적절한 명명일까?
2. 미인도 명명의 문제점
3. 조선시대의 미인도와 여성초상화의 거리
4. 기생의 肖像畵는 어떻게 그려졌나
5. 여성이 畵家 앞에서 姿態를 바로잡다
6.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