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31.168
3.133.131.168
close menu
KCI 등재
『운림석보(雲林石譜)』와 『소원석보(素園石譜)』의 비교 연구 -령벽석(靈璧石) 기술 양상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the Yunlin shipu and the Suyuan shipu with focus on their descriptions of the Lingbi stone
신정수 ( Jeong Soo Shin )
한문학논집 42권 125-154(30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259731

본 연구는 靈璧石에 대한 기술 양상을 중심으로 『雲林石譜』와 『素園石譜』에 나타난 괴석 문화를 고찰한다. 두 석보는 모두 중국 각지의 괴석들을 집대성한 전문 서적이지만 내용과 형식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를 석보의 저자 杜館과 林有麟의 편찬 의도와 북송 말과 명말이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논의한다. 특히 석보의 편찬과 영벽석 문화 사이의 관련성이 본 연구의 주관심사이다. 두 석보는 영벽석이 유행한 시기에 편찬되었고 텍스트에서도 영벽석을 가장 비중 있게 다루지만 배치와 기술 방식은 상당히 다르다. 『雲林石譜』는 영벽석을 권1의 첫 번째 괴석으로 소개한 반면에 『素園石譜』는 영벽석을권2에서 첫 번째 괴석으로 다루면서 권1에서도 영벽석으로 만들어진 硏山을 대거 소개한다. 이는 명말에 이르러 영벽석 감상 문화가 이미 정착되었고 이중에서도 다시 小巧의 극치를 보여주는 영벽석 연산이 문인들 사이에서 가장 선호되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Yunlin shipu 雲林石譜 and the Suyuan shipu 素園石譜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ir descriptions of the Lingbi stone 靈璧石. The paper first demonstrates that the compilation of the stone catalogs was a direct result of the vogue for the Lingbi stone which twice appeared, first in the 12th century and then later in the 17th. The Yunlin shipu gives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Lingbi stone ranging from its physical attributes to how it is quarried, while the Suyuan shipu focuses on its aesthetic aspects. Their different attitudes towards the stone reflect not only the personal taste of the authors but also the cultural climate of each age. One noticeable fact is that while the Yunlin shipu catalogs Lingbi stone in the first section, the Suyuan shipu discusses it in the second section and also mentions famous exemplars in other places, for examples, section one. This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one catalogues suggests that during the late Ming period, the popularity of the Lingbi stones was already so widespread that some fancy stones were individually recognized among the literati.

1. 서론: 석보의 편찬과 영벽석의 유행
2. 『雲林石譜』: 괴석에 대한 전반적 고찰
3. 『素園石譜』: 시각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의 강조
4. 結論을 대신해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