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38.20
3.144.238.20
close menu
KCI 등재
"시와 같은 그림"의 문화적 함의 -<소상팔경도>를 중심으로-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Poetic Painting, Eight Views of Xiao Xiang
조규희 ( Kyu Hee Cho )
한문학논집 42권 187-208(22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259751

세종의 삼남인 안평대군은 1442년 6월, 세종에게서 ``匪懈``라는 堂名을 하사받았다. 이해 8월에 이에 대한 화답으로 여겨지는 <소상팔경시화권>을 제작하였는데, 이 시화권에는 당시 영향력 있는 重臣 및 집현전 학자 다수의 시문들이 포함되었다. 비해당 안평대군이 <소상팔경시화권>을 제작하여 당시 정계와 지식인 사회의 이목을 끈 것이었다. 그러나 이 때 그려진 <소상팔경도>는 현재 그림이 전하지 않아 이후 조선에서 활발하게 제작된 <소상팔경도>의 연원 및 원형으로서만 주목되어 왔다. 그런데 이 당시는 세종이 ``소리``의 문화 통치를 구상하던 시기였고, 이러한 세종의 문화 정책을 수행할 핵심 지식인들은 당시 ``시``로써 문단을 주도하던 비해당 안평대군을 따르던 집현전 학자들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이 시점에 제작된 <소상팔경도>를 이들이 ``시와 같은 그림``으로 주목한 것이다. 이 논문은 이렇게 ``시와 같은 산수화``로서의 <소상팔경도>가 북송 11세기 후반에 처음 출현한 배경 및 고려에서 명종의 어명으로 특정한 시기에 제작된 맥락을 살펴, <소상팔경도>를 1442년에 안평대군이 재조명한 문화적 함의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에서 유행한 특정 畵題의 수용이 그동안 인식되어 온 것처럼 수동적인 영향관계에 의해서가 아니라 특정한 시기에 특별한 목적을 위한 적극적인 선택이었음을 논증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와 같은 그림 제작이 이후 조선 지식인 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시기에 그림을 통해 우회적으로 우아하게 자신들의 뜻을 전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토대가 되었음도 살펴볼 것이다.

King Sejong bestowed a house name called Bihae upon Prince Anpyeong, his third son, in June 1442. Regarded as a response to this award, Eight Views of Xiao Xiang was painted in August, embodying the poetry and prose of several influential senior statesmen and scholars of Jiphyeonjeon, a royal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by King Sejong. Namely, the production of Eight Views of Xiao Xiang by Prince Anpyeong of Bihae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then political and intellectual society. Throughout the period, King Sejong placed high importance on the culture of sound. The intellectuals who were assigned to fulfill such sound based cultural reign were the scholars of Jiphyeonjeon. These scholars performed under Prince Anpyeong of Bihae, who led the literary circles through poetry. A notable detail about these individuals is that they regarded the Eight Views of Xiao Xiang as a poetic painting. Pertaining to such poetic elements that the painting manifest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Eight Views of Xiao Xiang that Prince Anpyeong re-illuminated in 1442. Moreover, it will evince that Joseon``s reception of the painting``s theme that was prevalent in China was not due to mere pas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ut was an active choice that entailed specific purpose at a particular time period. Further on, the paper will analyze how the allusions of poetic paintings functioned as the groundwork for the elite scholars to indirectly and gracefully communicate their intentions during the politically and socially significant time of the intellect``s society.

1. 서언
2. 북송 11세기 후반의 '사와 같은 그림'
3. 고려 명종의 문화 통치와 '소상팔경시화권'
4. 조선 세종의 문화 통차와 '匪懈堂瀟湘八景詩畵卷'
5. 결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