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57.186
18.191.157.186
close menu
KCI 등재
이왕직아악부의 피리연주자에 관한 고찰
General Edition : Study on the Leewangjik-Aakbu piri players
김현호 ( Hyunho Kim )
온지학회 2015.10
온지논총 45권 239-266(28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252196

일제강점기 전통음악의 존폐위기에서 이왕직아악부에서 이루어진 교육과 연주활동은 장악원의 음악을 현재의 국립국악원까지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에 틀림없다. 각종 국가 의례와 행사, 방송활동, 아악생의 교육 및 이습회(肄習會)개최, 악기 정리 및 복원, 악서 편찬 등을 통해 일제강점기 동안 전승이 끊어질 수도 있었던 궁중음악의 전승에 큰 공헌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현재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이왕직아악부를 피리연주자와 연주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피리연주자에 대해 살펴 본 결과 1기부터 6기까지 입학하여 졸업까지한 인원은 총 96명으로 전공은 가야금, 거문고, 피리, 대금, 비파, 해금, 생황 등 다양했다. 이 중 피리전공자는 총 25명으로 25%에 해당한다. 이 왕직아악부의 피리연주자는 1기 3명 2기·3기 4명, 4기 5명, 5기 4명, 6기 5명이었다. 피리전공자 비율은 1기 33%, 2기·3기 22%, 4기 28%, 5기 22%, 6기 20%로 전공악기 수와 아악수의 인원에 대비해보았을 때 높은 비율이다. 피리 전공은 좋은 성적으로 입학한 자에 한해서 전공할 수 있었다. 또1기 2기생의 경우 수석졸업이 피리전공이었으나, 3기 4기의 경우 꼭 수석은 아니었지만, 좋은 성적으로 상위권에 속해있었다. 이후 많은 연주자들이 매 기수마다 배출되어 활동을 펼쳤지만 6기의 경우 6.25등을 이유로 이강덕을 제외하고 흔적을 찾기가 어렵다. 이들이 활동한 공연은 이습회를 제외하고도 다양했다. 이 연구에서는 공연활동 중 두드러진 해외공연활동과 <조선아악> 음반발매만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1924년 교토공연은 이왕직아악부의 본래 목적과 다른 경향의 공연이었는데, 아악생들의 역할도 변화되었다. 파견된 인원은 총 12명으로 이왕직아악부의 아악사였던 김영재를 비롯하여 아악수 이봉기, 김영기, 김계선, 김수천, 박삼쇠, 고영재 7명이 악원으로 편성되고, 이병우·박노아·박성재·김선득·이병성 5명은 무원으로 편성되었다. 그런데 이 5명은 모두 피리전공자들이다. 다시 말해 피리연주자들이 무원으로 참여한 것인데 당시 나이가 16세에서 20세 사이로 무동(舞童)의 역할로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피리연주자들은 상황에 따라 다른 편성에 배치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피리에만 국한되지 않고 배울 수 있는 교육과정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아악> 음반발매를 꼽을 수 있다. <조선아악>에는 제례악을 비롯하여 연민락, 보허자, 취타, 영산회상이 수록되어 있다. 이 음반은 1.2기생들로 구성되어 연주되어 있으며, 때에 따라 피리 연주자가 훈과 같은 다른 악기를 연주하기도 하였다. 이왕직아악부의 피리연주자들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미흡하여 추후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인물이나 연주활동 등을 통해 많은 정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Faced with a fatal crisis of our traditional music being on the verge of complete demis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Leewangjik-Aakbu made pivotal contributions to upholding and passing down our traditional formal court music, which otherwise might have died ou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next generations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performance in state rituals and events, broadcasting activities, training pupils, internal music performance called ‘Iseuphwe’, sorting-out and restora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publication of musical book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has taken an in-depth look at piri players in Leewangjik-Aakbu and their activities, which have remained largely unexcavated. The study has found that a total of 96 players completed the formal curriculum from Class Year 1 through 6, 25 of whom were piri players, including three in Class Year 1, four in Class Year 2 and 3, five in Class Year 5 and another five in Class Year 6, respectively, accounting for 25% of all students. When it comes to the number and relative ratios of players in Leewangjik-Aakbu, piri players make up larger portions with 33% in Class Year 1, 22% in Class Year 2 and 3, 28% in Class Year 4, 22% in Class Year 5, and 20% in Class Year 6, respectively. Only those who were admitted with excellent grades were able to major in piri plaLeeng. It was the piri players in Class Year 1 and 2 that graduated summa cum laude from the traditional music school and the piri players in Class Year 3 and 4 also belonged to the top group as well although they did not graduate summa cum laude. These players engaged in a variety of performances in addition to Iseuphwe, most notably, overseas music tours and the release of their album called , which are the focu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Kyoto performance in 1924 that featured different colors and propensities from what were originally sought by Leewangjik-Aakbu and the court music players changed their roles in the performance. The delegation comprised of 12 players in total included seven musical players, including Yeong-jae Kim, the leading player, Bong-gi Lee, Yeong-gi Kim, Kye-seon Kim, Su-cheon Kim, Sam-swe Park, and Yeong-jae Goh and five dances, including Byeong-ho Lee, Noh-ah Park, Seong-jae Park, Seon-deuk Kim, and Byeong-seong Lee, all of whom were piri players. piri players served as dancers in the performance apparently in consideration of their relatively younger ages ranging from 16 to 20. As illustrated above, they were deployed in various position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which is considered as the integral part of the curriculum instead of being restricted to plaLeeng the piri only. Another major activity they worked on was the release of the album called that contains a wide range of ritual music genres, including Yeonminrak, Boheoja, Chwita, and Yeongsanhwesang in addition to Jeryeak and yeonryeak. The players who made this album were comprise of the students in Class Year 1 and 2, and occasionally piri players played the other musical instruments such as Hun, a globular piri made of baked clay. A lot is yet to be done when it comes to researching the piri players in Leewangjik-Aakbu and follow-up studies on individual players and their activities are much desired.

Ⅰ. 서 론
Ⅱ. 이왕직아악부의 피리연주자
Ⅲ. 피리연주자의 활동
Ⅳ. 결 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