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0.44
3.149.230.44
close menu
KCI 등재
유럽과 비교를 통한 동북아의 “역사화해”의 가능성: 독일-폴란드와 한국-일본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in East Asi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uropean Experiences: Focused on German-Polish and Korean-Japanese Relations
송규진 ( Kuejin Song )
사총 86권 177-205(29pages)
UCI I410-ECN-0102-2016-910-000235770

독일과 프랑스는 ‘역사갈등’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 공동역사교과서를 편찬하기로 합의한 뒤 마침내 2006년에 양국에서 동시에 출간했다. 독일과 폴란드도 2008년에 공동 역사교과서를 발간하기로 합의했다. 독일과 폴란드의 경우 ‘역사대화’를 시도한 지 80여 년, 1972년에 권고안에 합의한 지 36년이라는 오랜 시기에 걸쳐 꾸준하게 노력한 결과였다. 한중일 3국간 ‘역사대화’의 진전은 현실을 고려할 때 실행 가능성, 지속 가능성, 확장과 심화 가능성이 유럽에 비해 매우 낮다. 일본의 시민사회단체는 지역네트워크가 강한 반면 전국네트워크는 큰 취약점이있고 한국의 시민사회단체는 재정이 탄탄하지 못해 국제교류를 지속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국의 시민사회단체는 중국공산당의 통제에서 아직은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거와 비교해보면 ‘역사갈등’을 해소하고 공동의 역사인식과 화해를 모색하는 한일 시민사회단체의 교류가 훨씬 활발해졌다. 대화를 통해 역사와 관련된 여러 의견을 교환하고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논의하며 역사교재를 공유하거나 공동 편찬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동북아의 ‘역사갈등’이 첨예화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비록 민간차원이긴 하지만 한중일 간, 한일 간 공동역사교재 개발의 의미는 적지 않다. 유럽사례를 볼 때 ‘역사대화’를 통해 인내를 가지고 장기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역사대화’를 진행한다면 결국 동북아에서도 한일 간, 더 나가 한중일 간 공동역사교과서를 발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동북아의 ‘역사화해’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After agreeing to compile a joint history textbook to resolve the issue of “conflictu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Germany and France succeeded in simultaneously publishing a joint history textbook in 2006. Germany and Poland also agreed on publishing a joint history textbook in 2008. In the case of Germany and Poland, it was the result of steady and tireless efforts spanning about 80 years after the two countries started “historical dialogue” and 36 years after they reached an agreement on a range of recommendations in 1972. Given the reality of Northeast Asia, it would seem much less likely for an “historical dialogue” to be implemented, sustained, and expanded among three countries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an in Europe. This is because Japan’s civic groups have strong local networks, while weak on the national level; Korean civic groups are financially weak in maintaining international exchange, and those of China are not entirely free from the control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ompared with the past, however, the ex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ivic groups seeking a shared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reconciliation have become much more activ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share various opinions, discuss specific issues, and jointly publish history textbooks. The publication of a joint history textbook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or between Korea and Japan, though on the private level, carries significance, as the controversy over the “conflictu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in Northeast Asia grew intense. Given the cases of Europe, a joint history book between Korea and Japan and one among Korea, Japan, and China can be published, if the “historical dialogues” are conducted patiently and consistent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hoped that this forms the foundation for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of Northeast Asia.

1. 머리말
2. 유럽의 ‘역사화해’ 과정 : 독일-폴란드 공동역사교과서 발간합의 과정을 중심으로
3. 동북아의 ‘역사화해’ 가능성 : 한국-일본 공동역사교재 발간 과정을 중심으로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