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220.114
18.217.220.114
close menu
KCI 등재
일제강점기 < 경탄가 > 연구 -한 명문대가 후예의 봉건적 지식담론과 가문의식-
The Study on written in Japanese Colonial Era-focusing on the Reality Awareness of Nobility Family Descendants-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시가연구 39권 143-168(26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193070

이 연구의 목적은 <경탄가>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작가가 일제강점기 폭압적 정치구도와 강력한 근대문명사회로의 진전에 대응하여 보여준 현실인식을 규명하는 데 있다. <경탄가>의 작품세계를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한 명문대가 후예의 현실인식을 규명했다. <경탄가>의 작가는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당시의 이념적, 역사적 변화 현실에 전혀 대응하지 않았다. 다만 유교적 이념에 입각하여 왕이 마련해 놓은 봉건적 체제와 질서 안에서 당대의 현실을 바라보았다. 작가가 집요하게 추구한 것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조선시대와 관련한 봉건적 지식 담론의 전달이다. 근대 학문인 ‘신학’이 날로 증대되는 현실이었지만 새로운 지식에 대한 성찰을 스스로 차단하고 한학자의 특권인 봉건적 지식을 자녀에게 전달하며 지식권력을 발휘했다. 또 하나는 명문대가의 후예라는 가문의식이다. 작가는 승품을 따내고, 명문대가의 후예라는 인식을 가족에게 심어주고, 여성통제 이데올로기의 강조를 통해 가문의 영속을 기도했다. 작가는 대내외적 혼란이 극심했던 격변기에 직면했던 자신의 문제를 가문의식으로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작가의 현실인식은 근대담론이나 일제강점의 현실을 회피하고 봉건적 지식담론과 가문의식 그 자체에 함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경탄가>의 작가가 보여준 현실인식은 당대 독립운동에 투신한 양반가 후예의 것이나 전통적 사고를 고수하던 도학파의 것과 구별되는 것이다. <경탄가>는 일제강점기 역사적 변혁기와 근대문명사회에 직면하여 명문대가 후예가 보여준 다기한 현실인식과 그에 따른 행보 중 극단의 한 예를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ality awareness of the writer through analyzing the text of . It works by dividing the analysis into the first half and second half, and based on this I will reveal the reality awareness of the writer. The author did not correspond at all to the reality of historical and ideological change. Just on the basis of Confucian philosophy he only looked at the reality in the feudal system and order. The writer was intensively pursued two. One is the delivery of knowledge feudal discourse relating to the Joseon Dynasty. Despite the modern period increasing modern studies, He himself block the reflection on the new knowledge, he has demonstrated the knowledge power. Another is the family consciousness as a descendants of nobility family. The writer raised the government office, instilled the family consciousness as a descendants of nobility family to his family, wanted the honor of the family through the women control ideological. The writer had to overcome his problems to face on extreme confusion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with the family consciousness as a descendants of nobility family. Thus, the real recognition of the writer has avoided the reality of the modern discours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has buried itself in feudal knowledge discourse and the family consciousness as a descendants of nobility fami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