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29.145
18.221.129.145
close menu
KCI 등재
한시의 근대적 전유, 자기화의 가능성 -김억의 『망우초(忘憂草)』(1934)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ies of Modern Appropriation and Privatization of Chinese poetry-Kim Eok`s translationof Chinese poetry and Mangwoocho(1934)
구인모 ( In Mo Ku )
한국시가연구 39권 169-200(32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193085

이 글은 김억의 문학적 편력의 다면성을 염두에 두고 한시 번역 시집 『忘憂草』(1934)를 둘러싼 의미를 조망하고자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 김억의 『망우초』는 국민문학과 시가개량을 모색하며 시의 음악화를 모색하던 시기의 한시 번역으로서, 시인이 아닌 번역가로서 김억과 한시 번역의 의의를 이해하고, 이후 그 맥락의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는 시금석이다. 이러한 『망우초』는 김억이 한시를 통해 동양적 정서의 원형을 탐색하는 실천이자, 중세 보편어 문학의 유산을 전유하고 자기화하는 방법을 통해 근대기 자국어 글쓰기의 가능성을 모색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특히 이 글은 김억의 한시 번역과 『망우초』가 그보다 먼저 시도된 사토 하루오(佐藤春夫, 1892~1964)의 한시 번역과 『車塵集』(1929)으로부터 깊은 감화를 받은 결과라는 데에 주목했다. 김억과 사토 하루오가 비슷한 시기 한시의 번역을 통해 동양적인 정서의 원형을 탐색했다는 점은 중세 보편어 문학의 전유, 자기화를 둘러싸고 근대기 동아시아 지역 혹은 제국과 식민지 사이에 대화의 장면이 연출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정은 김억의 한시 번역이 단지 근대시의 이상과 가치를 거스르는 예외 혹은 퇴행의 일국적인 사건이 아님을 시사한다. 그리고 비서구 지역에서 이루어진 근대적인 글쓰기의 실천과 관련한 동아시아적 현상의 차원에서 김억의 한시 번역과 『망우초』의 의의를 다시 묻도록 이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s of Mangwoocho(忘憂草, 1934), a translated collection of Chinese poems by Kim Eok with a focus on the various aspects of his literary itinerancy. His Mangwoocho was translated when they made an attempt at national literature and renovation of poetry and tried to turn poetry into music. It is a touchstone to understand him as a translator rather than a poet and also the significance of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and detect the following contextual changes. Mangwoocho was also his effort to explore and practice the archetype of Oriental emotions through Chinese poetry and the result of his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writing in Korean during the early modern times through the appropriation and privatization of heritage of Chinese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hat his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and Mangwoocho were deeply influenced by Sato Haruo(1892~1964)`s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before him and his Shasinshu(車塵集, 1929). Both Kim Eok and Sato Haruo searched for the archetype of Oriental emotions by translating Chinese poems at a similar time, which means that there were scenes of dialog produced around the appropriation and privatization of Chinese literature before the modern times in East Asia or between the empire and colonies during the modern period. Those circumstances imply that Kim Eok`s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was not a national event that went against the ideals and values of modern poetry or made a regression in that aspect. They also lead to quest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his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and Mangwoocho in the dimension of East Asian phenomena related to the practice of modern writing in non-Western reg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