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71.34
3.12.71.34
close menu
KCI 등재
지방정부의 성과중심적 인사관리의 공정성이 공무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Local governments performance-oriented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civil servant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focused on Busan
이희태 ( Hee Tae Lee )
UCI I410-ECN-0102-2016-350-00016912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성과중심적 인사관리의 공정성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청 공무원과 부산지역 4개 구청에서 근무하는 5급이하 공무원 3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결과 절차적 공정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무원의 직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배적 공정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모두 직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정성과 직무성과 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절차적 공정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배적 공정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organizational equity in local government performance-oriented human resource management affect civil servants perception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 total of 398 civil servants below level5 were selected from Busan Metropolitan City Hall and 4 Gu Offices in Busan area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were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verified results indicated that procedural equity had a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civil servants job performance. It was observed that distributive equity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civil servant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otal job performance. In addition, verified results on the mediation effects between equity and performance on one hand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indicated that the mediation of procedural equity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positive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job performance. The mediation of distributive equity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d not hav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 및 조사설계
Ⅳ. 실증적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