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38.125
18.218.38.125
close menu
KCI 등재
로컬푸드 성공요인 분석과 정책적 함의
An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 of the Local Food Success Factors
주상현 ( Sang Hyeon Ju )
지방정부연구 19권 3호 291-315(25pages)
UCI I410-ECN-0102-2016-350-00016922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새로운 지역성장 모델로 논의되고 있는 로컬푸드의 성공적 정착이 새로운 형태의 지역사회 자본 형성에 기여하여 지역의 활력을 증진시키고 지방정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동인이 된다는 전제하에 AHP 분석방법을 통해 주요 성공요인의 분류화와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향후 로컬푸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정책방향을 도출해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로컬푸드 성공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면접을 시행하였고, 설문의 수집은 방문조사방법과 전자우편(E-mail)조사방법을 병행하여 설문대상자에게 측정지표 및 가중치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한 이후에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 회수는 20부 중 17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일관성을 확인을 통해 설문지 3부를 제외하고 14부를 대상으로 AHP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차 수준, 2차수준 및 3차 수준의 각 지표들의 가중치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로컬푸드 성공요인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현장전문가 영입, 고객욕구의 적절한 반영, 안전성 우수, 중앙정부 보조금, 로컬푸드 상품 품질의 우수, 먹거리 규모가 큰 시장 존재, 유기농 로컬푸드 이미지, 지방정부 보조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국 로컬푸드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로컬푸드 현장전문가를 영입하여 초기부터 전문성과 굳건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농산물을 구입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며, 유기농 농산물, 신선한 농산물, 소포장 판매 등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욕구에 적절히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외에도 로컬 푸드 성공을 위해서는 안전성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로컬푸드 상품 품질의 우수, 유기농 로컬푸드 이미지 등과 연계하여 로컬푸드에서 공급되는 농산물의 안전성이 담보되어야만 로컬푸드가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seeks policy implications of implementing effective local food by the AHP methods with the case of a Wanju-Gun local food program. It begins with the understanding that the social economy and social capital are critical in energizing local economy and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communities. With the method of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AHP), it prioritizes the critical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local food programs and explores the direction to which policy makers consider. Data collected by mail surveys of local practitioners shows that difference exists in each phase of implementation. In its first and initial stage, critical is the resource side. Then the market environment is important at the second stage, and production, marketing, and network and leaders are critical in a consecutive order. To push the implementation effectively, the program should include the appointment of local food specialist, the time supply of products appropriate for consumers` needs, and the safety of local food produc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틀 및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