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218.230
3.137.218.230
close menu
KCI 등재
저소득층 자녀를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복지우선지원정책과 학교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s of education welfare policy regarding children from lower income family: Focusing o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olicies and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김경아 ( Kyung Ah Kim )
지방정부연구 19권 3호 317-337(21pages)
UCI I410-ECN-0102-2016-350-00016923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교육영역에서의 불평등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주요 원인임을 인식하여, OECD 국가 들은 교육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이처럼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개인, 집단, 계층, 지역 간에 발생하게 되는 교육여건 및 교육성과 등의 격차를 감소시키는 정책을 교육복지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교육복지정책에 관한 연구가 교육학 분야를 제외하고는 행정학적 관점에서 정책에 대한 평가와 비판이 많지 않았다. 교육과정에서 형평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의 현황과 그 성과에 대해 학문적 검토가 필요한 이유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교육청의 교육복지정책으로써 ‘교육복지우선지원정책’의 현황 및 특징을 살펴보고, 정책의 성과에 대해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검토에서 교육복지정책의 개념과 유형, 정책성과 평가를 위한 이론적 검토를 하고, 실증분석에서는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교육복지정책의 주요성과를 검토하였다. 4개의 다중회귀분석의 분석결과에서 공통된 것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심리적 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있으며, 이것은 다수의 선행연구 실증분석결과와 일치한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가정분위기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관한 4개 유형의 만족도가 모두 높았다. 학생의 성별이나 형제자매 유무, 홀어머니 또는 부모님의 부재 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홀아버지 가정의 자녀들은 다른 조건이 같을 때 학업만족도와 교육환경 만족도, 그리고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A study on effects of education welfare policy regarding children from lower income family: Focusing o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Education welfare policy is to reduce the gap of educational condition and performances resulting from various differences such as individual, group, class, and region. In Korea, there were not many public administrational evaluations on education welfare policy aside from pedagogy research. Therefore, an academic study to evaluate the education welfare policy and its performances to reinforce the educational equity is much needed. In this study, current state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s an education welfare polic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was examined and the empirical test on the performance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and types of education welfare policy, and policy evaluation was reviewed in the second chapter. In the empirical test, questionnaire was used to review major education welfare policy performances.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the degree of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chosen to be a proxy variable of dependent variable of educational performance. The 3 independent variables are demographic traits such as sex and family backgrou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lik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en the relevant policy participation.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education welfare policy participation affects several kind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Common result from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that psychological factor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ffect satisfaction level; it aligns with many other precedent researches` empirical tests. In personal factor, if one`s home atmosphere satisfaction level is high, 4 kinds of satisfaction level are also high. Student`s sex, having siblings or not, single mother or absence of parent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ffecting satisfaction level. However, if other conditions are same, children from single father family have higher satisfaction level in learn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general school life.

Ⅰ. Introduction
Ⅱ. Studies of Education Welfare and Education Welfare Policy
Ⅲ. Empirical Test on Performance of Education Welfare Support Policy
Ⅴ. Conclusion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