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224.197
52.14.224.197
close menu
KCI 등재
중국과 북한의 경제,사회 변화와 남북관계
China, the Changes of North Korean Economy-Society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uth & North Korea
유신일 ( Shin Il Liu )
한국동북아논총 77권 99-120(22pages)
UCI I410-ECN-0102-2016-340-00016151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개혁개방이후의 중국과 오늘날 북한 간의 관계에 대해 정부 정책적인 방면에서, 혹은 경제적 교류 측면에서, 혹은 정치 이론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국부적인, 단면적인 연구결과들이 있다. 하지만, 북한 중국 간의 관계는 어떤 국부적인 관계로만 평가될 것이 아니다. 복합적인, 즉 정치이론적인 변화, 경제적인 교류, 정부 간 교류, 그리고 민간 교류 방면 등 복합적인 요인들로 분석할 때, 북중 관계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가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논문은 북중간 상호 주장하는 오늘날 북한식, 중국식 사회주의 정치경제 이론의 변화와 상이함에 대해 먼저 분석한다. 그리고 북중간 현재 추구하고 있는 사회주의 정치경제 이론의상이한 결과로 인해, 1992년 한중간 외교관계 체결이후 한중간 경제, 정부, 민간 방면의 교류가 활성화 되고, 현재 한중 밀월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북중간 경제, 정부, 민간교류는 상대적으로 소원해 지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대체할 수 있는 세력의 부재로 북한의 김정은 정치체제는 당분간지속될 것이며, 남북 관계도 당분간 현행대로 유지될 것으로. 북한의 도발, 협상, 민간 교류의 진행과 중단 등이 반복되는 남북한 관계도 계속될 것으로 서술한다. 작금의 한반도와 중국과의 관계, 남북한의 관계 속에, 한국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북한과 통일 준비를 위해할 수 있는 일은, 해야 될 일은 북한 어린이 돕기, 인력 양성, 지속적인 민간 교류 등이 될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The socialistic political & Economical theories pursued by China of Post-Reform & openness and the present North Korea are different from with each other. Those differences between today’s China and North Korea have resulted in today’s honeymoon period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but in today’s estranged rel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These results can be seen from the economic exchanges, governments’ exchanges and non-governments exchanges among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The current political system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ill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because of the stable Kim Jong Un’s political structure of North Korea. Provocation of North Korea, Mutual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progression and suspension of non-governments exchanges between South & North Koreas, etc will be also repeated as in the past. Under this inter relationship environ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outh Korea is expected to help North Korean Children and North Korean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peninsula and the need of manpower of post-unification era. And the persistent non-governmen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lso will be helpful to improve mutual-understanding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lthough the exchanges will be intermittently suspended due to the North Korean provocation.

Ⅰ. 서 론
Ⅱ. 최근 중국과 북한의 정치경제 이론 변화
Ⅲ. 중국과 남.북한 간의 경제적 교류
Ⅳ. 중국 정부의 대 한반도 정책
V. 중국과 남북한 민간인들의 상호 교류
Ⅵ. 남북 관계
Ⅶ. 결 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