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11.125
3.145.111.125
close menu
KCI 등재
디지털 문식 경험에 따른 양식(mode) 사용 양상 분석
Analysis of Using Mode Based on Digital Literate Experience
편지윤 ( Ji Yun Pyeon ) , 강지은 ( Ji Eun Kang ) , 이혜인 ( Hye In Lee )
작문연구 27권 145-180(36pages)
UCI I410-ECN-0102-2016-800-000635517

이 연구는 매체의 변화가 인간의 사고를 재구조화한다는 월터 옹의 논의를 바탕으로, 문식 환경의 변화가 인간의 언어 사용 및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변화의 구체상은 어떠한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식 환경 변화에 따른 언어 사용 양상을 양식(mode)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주로 경험한 문식 환경의 양적·질적 차이에 관여하는 연령, 자주 노출된 문식 장면, 디지털 매체 활용 능력, 디지털 문식 환경 친숙도 등을 고려해 디지털 원주민 집단과 이주민 집단을 비교 집단군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의 세 가지 지점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원주민 집단은 이주민 집단에 비해 폰트 종류, 크기, 색깔까지도 양식으로 사용하는 등 양식 범주를 폭넓게 상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디지털 문식 환경에 따른 사고 변화의 대표적 양상인 ‘2차 문자성’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두 집단 모두에게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의 문식 환경이 디지털 문화와 문자 문화가 공존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두 문식 환경 간 상호적 재매개(remediaion)의 결과로 해석된다. 셋째, 원주민 집단은 이주민 집단과 달리 하나의 양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의미 효과를 기대하며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집단별로 양식의 기능역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디지털 매체 및 환경에의 친숙도와 경험 정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Based on the argument of Walter J. Ong that the change of rhetorical media rebuilds human`s thought, this study aims to search whether human`s linguistic thought(structure) vary by the change of rhetorical media, and how the variation is detailed. For this, the aspect of the use of language was analyzed in the dimension of mode. The comparison target of the study was chosen regarding the intimacy and experience toward digital language environment. Concretely, age as the standard, after separating subject into two groups; natives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form language and migrates who are not.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e three remarkable differences. Firstly, the ``digital native``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utilizing a wide range of category such as font`s color and size and type compared to the ``digital migrates``. Secondly, in the case of ``secondary literacy`` which is a representative aspect of human thought variation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was shown in both group, with minor difference. This kind of consequence results from the coexistence of digital culture and character culture, and is interpreted the result of mutual remediaion of two culture. Third, the native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expecting one form of media to come up with various results and effects, compared to the migrates who are not. As can be seen in the study, the difference of the functional range of the form is rooted in the intimacy and the amount of experience toward digital environ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